‘신대륙의 발견자’로 통하는 콜럼버스의 위상이 미국에서 점점 떨어지고 있다. 연방국경일인 ‘콜럼버스의 날’을 ‘원주민의 날’(Indigenous Peoples Day)로 바꾸는 도시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음이 그 방증이다.
9일(현지시간) 인디펜던트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만 23개 도시가 ‘원주민의 날’을 기념하는 행사를 성대히 가졌다. 이러한 움직임은 1992년 캘리포니아주 버클리에서 첫 걸음을 내딛었다. 이후 뉴멕시코 주 앨버커키, 오클라호마 주 애너다코, 오리건 주 포틀랜드, 미네소타 주 세인트폴 등이 잇따라 ‘컬럼버스의 날’을 외면하는 정책을 채택했다.
지난 8월 LA시의회는 ‘콜럼버스 데이’라는 명칭을 ‘원주민의 날’로 변경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대륙의 발견자가 아닌 상륙자일 뿐이며, 나아가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노예제도를 도입하고 원주민 학살과 토착 문화 파괴를 자행했다는 부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탓이다.
미국 정부는 1937년부터 10월 둘째 주 월요일을 연방 국경일인 ‘콜럼버스 데이’로 지정했다. 1492년 10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1451~1506)가 신대륙에 상륙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정책이었다.
하지만 콜럼버스에 대한 인식은 점점 추락하는 중이다. 실제 지난달 12일 뉴욕 센트럴파크에 있던 콜럼버스 동상에 ‘증오는 용인되지 않는다’는 글귀가 쓰이는 등 페인트칠과 낙서로 얼룩지는 사고가 벌어졌다. 뉴욕시 의회에서 콜럼버스 동상 철거 주장이 나오고 있기도 한다.
한 지방의회 측은 “원주민의 날은 아주 먼 옛날부터 이 땅에서 살아온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사상, 문화, 기술을 존중하기 위한 날”이라고 선포했다.
물론 ‘콜럼버스 데이’를 지켜야 한다는 반론 또한 만만치 않게 맞서고 있다. 특히 매년 10월이 되면 이탈리아 제네바 출신인 콜럼버스를 기념하는 집회를 열어온 이탈리아계 미국인들은 “원주민을 기념하는 의도는 좋지만 시대가 바뀌었다고 해서 콜럼버스 데이 명칭 자체를 바꾸고, 콜럼버스가 이뤄낸 최소한의 업적조차 폄하하는 것은 도의적, 공정성 차원에서 지나친 것”이라고 반박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