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부자와 빈자의 행복…방법도, 내용도 다르다(연구)

작성 2017.12.19 14:06 ㅣ 수정 2017.12.19 14:06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확대보기
▲ 부자와 빈자의 행복…방법도, 내용도 다르다


돈이 많고 적음에 따라 행복을 찾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게 새로운 연구로 확인됐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어바인캠퍼스 연구팀이 미국 전역에 사는 24~93세 성인남녀 151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자료를 사용해 위와 같은 사실을 입증했다고 감정 저널(journal Emotion)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선 참가자들의 가구 소득을 조사했다. 그리고 행복을 이루는 7가지 감정인 즐거움과 경외감, 연민, 만족감, 열정, 사랑, 자부심을 얼마나 겪고 있는지를 측정하려고 고안한 몇 가지 질문에 답하게 했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에게 ‘다른 사람들을 보살피면 마음이 따뜻해진다’는 서술에 동의하는지에 따라 연민을 얼마나 느끼는지 측정했다.

그 결과, 사회경제적으로 최상위에 있는 참가자들은 즐거움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초점을 맞춘 감정, 특히 만족감과 자부심을 느낄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 수준이 최하위에 있는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주목하는 감정, 즉 연민과 사랑을 체험할 가능성이 더 컸다. 이들은 또 자신을 둘러싼 일상 속에서 경외감을 느끼는 일이 더 많았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열정에 대해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에 대해 연구를 이끈 폴 피프 박사는 “이런 결과는 부(富)가 행복과 분명하게 관련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면서 “이는 부의 정도에 따라 다른 종류의 행복에 이르게 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부유층은 자기 업적과 지위, 그리고 개인적 성취에서 더 큰 긍정성을 찾을 수 있지만, 빈곤층은 다른 사람을 돌보거나 소통하는 등 관계를 통해 더 큰 긍정성과 행복을 찾을 수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또 피프 박사는 이런 차이가 소득이 더 높은 사람들은 독립심과 자립심에 대한 욕구에서 비롯될 수 있지만, 연민 등 타인 지향적인 감정은 소득이 적은 사람들이 더 위협적인 자신들의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더 서로 의지하는 유대 관계를 맺게 한다고 추정한다.

피프 박사에 따르면, 지난 몇십 년 동안 많은 심리 연구는 빈곤의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췄다.

그는 “빈곤은 사람들의 건강을 악화하는 등 삶에서 여러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면서 “부는 행복을 보장하진 않지만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기쁨을 느끼는 등 다양한 형태로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결과는 소득이 적은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덜 유리한 환경 속을 살아 오면서 삶에서 의미와 기쁨, 그리고 행복을 찾기 위한 자신만의 방법을 고안해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사진=ⓒ nd3000 / Fotolia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추천! 인기기사
  • ‘이상한 성관계’ 강요한 남편…“부부 강간 아니다” 법원 판
  • 아내와 사별 후 장모와 결혼식 올린 인도 남성…“장인도 허락
  • 호찌민 관광 온 한국 남성, 15세 소녀와 성관계로 체포
  • 악몽 된 수학여행…10대 여학생, 크루즈 배에서 집단 강간
  • 14세 소녀 강간·임신시킨 남성에 ‘물리적 거세’ 선고…“가
  • 女 400명 성폭행하는 정치인 영상 ‘발칵’…“2900여개
  • 비극적 순간…도망치는 8살 아이 뒤통수에 총 쏴 살해한 이스
  • “용의자 중 11살짜리도”…소년 12명, 14세 여학생 집단
  • “내가 남자라고?”…결혼 직전 ‘고환’ 발견한 20대 여성
  • ‘성녀’인가 ‘광녀’인가…‘싯다’로 추앙받는 여성 화제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