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의 주범이 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를 줄이기 위해 중국의 과학자들이 급진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중국 베이징대 연구진은 이산화탄소를 액체 상태로 만들어 심해 밑 침전물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탄소를 격리하는 모델을 세계적 학술지 사이언스의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최신호(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바닷속 다양한 조건을 재현하기 위해 압력과 온도를 바꿔가며 각기 다른 22가지 시나리오를 모의실험으로 진행했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특정 공간에 저장하는 과정을 흔히 ‘탄소 격리’라고 하는데 이는 과학자들이 지구온난화가 통제 불능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고안한 여러 방법의 하나다.
사실 탄소를 심해 밑 퇴적물에 주입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직면했던 몇 가지 문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연구진은 말한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이산화탄소는 부력 때문에 퇴적물 틈으로 다시 바다와 대기로 빠져나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액체 상태의 이산화탄소가 고압과 저온에서 하이드레이트(수화물)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줬던 기존 여러 연구를 바탕으로 고안됐다.
연구진은 “이런 하이드레이트는 특정 조건에서 침투할 수 없는 일종의 장벽을 만들어 탄소를 격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결과는 낮은 부력과 높은 점성이 상승하는 기류를 줄이고 덮개 역할을 하는 하이드레이트의 형성이 효과적으로 투과성을 줄여 결국 침투할 수 없이 밀봉되는 것을 보여준다”면서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가 다시 바다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액체와 하이드레이트 상태가 된 이산화탄소는 침전물 사이에 녹아든다.
이 기술의 핵심은 저온과 고압에서의 주입에 있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이제 연구진은 탄소를 심해에 격리하는 이 방법이 실제 환경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사진=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