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가 넘어 고관절(엉덩관절) 등 뼈가 부러질 경우 사망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시드니의 가반의학연구소의 잭퀄린 센터 박사 연구진은 덴마크에서 50세 이상의 여성 2만 1123명(평균연령 72세)과 남성 9481명(평균연령 67세)의 건강 및 사망과 관련한 정보를 담은 덴마크국립병원 기록을 토대로 분석했다.
특히 엉덩이와 대퇴부, 골반, 쇄골, 갈비뼈, 무릎과 발목, 손, 발 등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골절과 사망률 사이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집중했다.
그 결과 해당 통계집단 내에서 여성의 3분의 1과 남성의 절반이 50~64세 사이에 첫 번째 취약 골절상을 입었으며, 평균 7.2년의 추적 조사 기간 동안 여성은 1만 668명, 남성은 4745명이 사망한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고관절과 대퇴골 및 골반 골절 시 연령의 차이를 고려하고도 높은 사망률과 연관이 있음을 발견했으며, 골절 후 사망률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고관절 골절 후의 사망률은 100명 당 20명, 하퇴(무릎과 발목 사이) 골절 후의 사망률은 100명 당 7명 수준이었다. 반면 여성의 경우 고관절 골절 후의 사망률은 100명 당 13명, 하퇴 골절 후의 사망률은 100명당 6명으로 남성에 비해 사망위험이 낮았다.
또 남녀 통틀어 골절이 발생한 지 5년 이내에 사망하는 사람은 전체 골절 환자의 65%에 달했다.
모든 골절 유형을 통틀어 나이가 들수록 골절 후 사망률이 높아졌으며, 고관절 골절의 경우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초과사망률(사망률이 평소보다 증가한 비율)이 나타나는 기간이 10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관절 골절을 제외하고, 다른 골절로 인한 초과사망률이 나타나는 기간은 약 5년 정도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노인들의 골절이 오랜 침상생활을 불가피하게 하고, 이것이 2차 합병증으로 이어질 위험을 높인다고 경고한다. 특히 고혈압, 당뇨 등 만성 내과 질환까지 앓는 노인의 경우 합병증 및 이로 인한 사망의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고 설명한다.
연구진은 “골절로 인한 사망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 골절이 발생하기 전 뼈가 부러질 수 있는 부위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이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자세한 연구결과는 미국 내분비학회 공식 학술지인 ‘임상내분비학·대사저널’(JCEM,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최신호에 실렸다.
사진=123rf.com
송혜민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