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저녁 숲에 이름 모를 풀벌레 소리와 은은하게 보이는 반딧불이의 희미한 불빛은 상상만으로도 마음을 평온하게 한다. 하지만 사실 반딧불이 입장에서는 목숨을 건 불빛이라고 할 수 있다. 벌레의 울음소리와 마찬가지로 천적들에게 자신의 위치를 광고하고 다니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이런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위치를 공개하는 이유는 보통 짝짓기 때문이지만, 반딧불이의 경우 포식자에게 자신이 독이 있거나 혹은 맛이 역겹다는 점을 경고하는 목적도 함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 보이시 주립 대학의 제시 바버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박쥐와 반딧불이의 관계를 연구했다. 박쥐가 주된 먹이인 나방보다 눈에 훨씬 잘 보일 뿐 아니라 속도도 느린 반딧불이를 사냥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정확한 이유를 알기 위해 연구팀은 고생스럽게 반딧불에 하나씩 페인트를 칠해 불빛이 새어 나오지 않게 한 후 반딧불이가 서식하지 않는 지역에 사는 박쥐와 나방을 잡아 연구를 진행했다.
박쥐는 나방이나 반딧불이 모두 처음 볼 때 사냥을 주저하지 않았다. 하지만 반딧불이의 불빛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반딧불이를 다시 잡아먹는 일이 거의 없었다. 반면 불빛을 가린 상태에서는 반딧불이를 사냥했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반딧불이의 생물 발광이 매우 역겨운 맛을 낸다는 신호라는 점을 확인했다. 참고로 반딧불이를 먹고 마비되거나 죽은 박쥐는 없기 때문에 치명적인 독을 지녔기 보다는 박쥐에서 역겨운 맛을 내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이 내용을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일반적인 오해와 달리 박쥐는 장님이 아니며 반딧불이의 희미한 불빛을 충분히 볼 수 있다. 그러나 박쥐가 어둠 속에서 볼 수 있게 도와주는 초음파는 나방과 반딧불을 구분하기 어렵다. 결국 반딧불이는 일종의 경고등을 통해 자신이 맛있는 나방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다. 만약 역겨운 맛을 내는 독성 물질이 없다면 반딧불이는 천적의 눈에 너무 잘 보이기 때문에 오래전 사라졌을 것이다.
보통 자연계에서 화려한 색상을 지닌 생물은 독을 지녔거나 혹은 역겨운 맛을 내는 경우가 많다. 반딧불이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인간의 눈에는 평화롭고 서정적인 반딧불이 사실은 경고등인 셈이다. 반딧불에 숨어 있는 재미있는 과학이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