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과 함께, 2000년대 들어 빠른 속도로 경제성장을 하게 된다. 이와 함께 그 동안 등한시 했던 해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해군력 증강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12년 9월 26일 취역한 중국 최초의 항공모함 랴오닝함은 대양 해군으로 발전 중인 중국 해군의 위상을 말해 준다.
치열한 국공내전 과정에서 대륙은 공산화 되었지만 국민당은 타이완에서 결사항전하고 있었다. 결국 건국 선언도 하기 전인 1949년 4월 23일 장쑤성 타이저우에서, 공산당군 육군 병력 가운데 일부를 차출하여 오늘날 중국 해군을 창설했다. 하지만 당시 중국 해군 전력은 미비했고, 대만해협을 건너 타이완을 점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치열한 격전 끝에 타이완은 오늘날 중화민국으로 남게 되었고, 대륙만 중국 공산당 손에 넘어가게 된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공산당 지도자들은 제해권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통감하게 된다. 중국의 바닷길이 미 해군에 의해 철저히 봉쇄되어, 홍콩, 마카오를 통해 전략 물자를 들여와야 했다. 특히 미 제7함대의 항공모함은 중국과 타이완과의 관계 즉 양안관계 악화될 때마다 나타나 중국 고위당국자들을 긴장시켰다.
중국의 항공모함 보유계획은 지난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었다. 하지만 경제가 받혀주지 못했고 한낱 꿈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 1995년 양안간에 일촉즉발의 위기가 발생하면서 항공모함의 꿈은 점차 현실화되었다. 당시 중국은 대만의 독립 분위기에 맞서 탄도미사일 발사와 대규모 군사훈련으로 대응했지만 미국의 항공모함 2척이 등장하면서 꼬리를 내렸다.
그 결과 중국은 미국의 항공모함에 대응하기 위해 항공모함 보유를 현실화한다. 특히 1990년대 들어 중국이 눈부신 경제성장을 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중국은 1992년에 소련의 붕괴로 건조가 중단된 미완성상태의 쿠츠네쵸프급 항공모함모인 바랴그함을 구입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정부와 접촉을 했고, 고진감래 끝에 성공하게 된다. 이렇게 들여온 바랴그함은 대련에 위치한 조선소로 들어가 환골탈태를 하고, 중국 최초의 항공모함 랴오닝함으로 재 탄생한다.
바랴그함과 함께 우크라이나에서 들여온 T-10K 시제기를 통해 중국 최초의 함재전투기인 J-15도 만들어졌다. T-10K 시제기는 현재 러시아 해군의 함재전투기인 Su-33의 원형이 되는 비행기이다. 랴오닝함에는 20여대의 J-15 전투기를 비롯 헬기들이 탑재된다. 2012년 11월 랴오닝함에서 J-15 전투기가 이착륙하는 모습을 전격 공개했다.
공개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중국해군이 과연 랴오닝함에서의 함재전투기 운용과 관련되어 많은 의구심들을 자아내었다. 그러나 중국해군은 랴오닝함이 등장하기 이전부터 항공모함을 운용중인 프랑스와 브라질에 운용요원을 파견해 노하우를 익혀나갔다. 랴오닝함과 관련되어 흥미로운 점은 중국정부는 작전용이 아닌 과학연구 및 훈련용으로 규정하고 있는 점이다. 하지만 랴오닝함이 움직일 때마다 언론은 주목하고 주변국들은 긴장한다. 이밖에 지난해 4월에는 랴오닝함을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된 항공모함인 001A함이 진수되었다.
김대영 군사평론가 kodefki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