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이미 고려 말 최무선이 흑색화약을 개발하는 등 화포 개발의 선진국이었다. 우리 육군도 포병전력의 국산화에 노력을 기울여 1970년대 초부터 105mm, 155mm 견인포를 국내에서 생산했다.
자주포의 경우 1970년대 미국으로부터 군사원조로 무포탑형 175mm 자주포와 8인치 자주포를 도입해 운용했다. 1983년부터는 미국이 1979년부터 배치한 155mm 자주포 M109A2를 모체로, 우리 육군의 요구에 맞게 개조한 K55 자주포를 국내에서 생산하게 된다. K55 자주포는 약 1천 여대가 생산되어 육군에 배치되었다.
1980년대 당시 우리의 포병 전력은 북한에 비하여 양적 질적으로 열악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현실에 육군은 질적 우위로 이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KH179 견인포와 K55 자주포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 육군은 차세대 자주포 즉 K9의 개발에 착수했다. K9 자주포는 1989년부터 개념연구가 시작되어 약 10년간의 집중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1999년부터 야전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K9 자주포는 52구경장의 155mm 화포를 채용해, 사거리연장탄을 사용할 경우 사거리가 40Km 이상이다. K9 자주포는 최대 3분간 6발의 사격이 가능하므로 K55 자주포 보다 3배 이상의 화력을 낼 수 있다. 특히 K9 자주포는 자동장전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어 사격속도가 매우 빠르다.
또한 자동화사격통제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표적위치를 입력하면 사격제원을 산출하여 마치 로봇처럼 포탑이 움직이며 포신이 사격에 알맞은 각도로 움직이게 된다. K9 자주포는 1,000 마력의 디젤엔진을 탑재하여 톤당 20마력이상, 최대 67Km까지 달릴 수 있다. 유기압 현수장치를 적용하여 주행 시 안전성과 승차감을 높였으며, 지면에 자주포를 고정시키는 스페이드 없이도 사격이 가능하다. 고강도 장갑판을 사용한 K9 자주포는 적 포탄의 파편이나 기관총, 대인지뢰 등에 대한 방호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K9 자주포의 방호력은 연평도 포격사건 당시 입증된바 있다.
K9 자주포가 우리나라 방위산업을 대표하는 무기체계로 자리잡은 데는 몇 가지 비결이 있다. 우선 우리 육군에서 1000여대 넘게 운용 중이다. 이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가질 수 있었고, 특히 운용유지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실전경험을 가진 몇 안 되는 자주포이다. 이밖에 원가절감을 위해 제작과정에 상당수준의 자동화가 이뤄졌고, 이 때문에 높은 완성도와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K9 자주포의 용접 불량률은 1%미만으로 국내 유명 조선업체들에 비해서도 낮은 수준이다. 마지막으로 K9 자주포는 개발 당시부터 미군 표준이 도입되었으며, 유럽에 수출된 K9 자주포는 나토 즉 북대서양조약기구 표준까지 적용되었다.
지난해 8월부터 육군 야전부대에 배치된 K9A1 자주포는 기존 K9에 자동사격통제장치의 개량, 조종수야간잠망경, 보조동력장치 등을 추가해 야전 운용 효율성이 대폭 향상되었다. 1999년 전력화된 이후 20년 만에 등장한 K9A1 자주포는 육군의 전력향상뿐만 아니라 해외 방산시장에서도 높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K9 자주포 제원(출처 한화디펜스)
최대사거리 40 km / 발사속도 6~8 발(분) / 탄약장전 자동 / 탄약적재량 48 발 / 전투중량 47 ton
김대영 군사평론가 kodefkim@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