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 베트남전쟁 등에 참전, 희생당한 병사들이 안치된 국립 공원 내부에는 병사들을 추모하는 교회가 설치, 매년 수 만여명의 추모객들이 찾아오는 곳으로 유명하다.
특히 이 곳에서는 매년 6월 25일 한 차례씩 한국전쟁에 참전, 목숨을 잃은 미국 장병 8924명과 신원 파악이 불가한 무명 용사 495명의 영령에 대한 추모 행사가 진행된다. 이날 행사에는 하와이 거주 한인 교민들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여행사 인솔 하에 하와이를 찾은 단체 여행객들까지 참여하는 등 뜻 깊은 행사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바로 공원 중심의 ‘레이디 콜롬비아 여신상'(Lady Columbia) 뒤로 조성된 다수의 전쟁 발발 과정 및 전투 경과 과정, 전쟁 피해 상황 등에 대한 설명을 게재한 지도에 ‘일본해'(Sea of japan)라는 명칭이 게재돼 논란이다.
한국전쟁과 전쟁에 참여한 이들을 기리는 국립공원을 찾은 이들이 ‘동해'(the East Sea)라는 명칭 대신 ‘일본해’로 표기된 지도가 한국전쟁과 참전 용사에 대한 추모 장소에 버젓하게 게재돼 있는 셈이다
더욱이 지난 1949년 완공된 이래 매년 수만 명의 추모객들이 찾는 이 곳에서 약 2m 규모로 제작, 기념관 벽면에 부착된 ‘일본해’로 표기된 전쟁 추모 지도가 수 많은 추모객들을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이에 앞서 우리 정부는 지난 2013년 2월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림비를 제작, 헌사한 바 있다.
당시 한국전쟁 정전협정 60주년을 기념해 국가보훈처에서 제작, 헌사한 기림비에 새겨진 지도에는 ‘동해’라는 명칭으로 게재돼 있다. 우리 정부가 제작한 해당 기림비 외에 펀치볼 국립공원 내에 설치된 모든 십 수개의 지도에 ‘일본해’로 표기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 곳을 찾는 추모객 중에는 국방대학교 교육생 70여명과 한국에서 찾아온 각종 단체, 협회 등 전쟁 시 희생당한 이들을 추모하기 위한 사회 다방면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더욱이 펀치볼 국립 묘지가 조성된 호놀룰루 시 일대에는 우리 교민 5~6만 명이 밀집, 거주해오고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뿐만 아니라, 이 일대에는 와이키키 해변, ‘다이아몬드 헤드’와 ‘펀치볼 분화구’ 등 관광 명소가 자리해 있다는 점에서 펀치볼 국립 묘지를 경유해 여행하는 세계 각 국의 관광객들의 수가 상당하다. 실제로 호놀룰루 시를 찾는 한국인 관광객의 수는 연평균 22~25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 전쟁에서 희생당한 참전 용사와 그 신원 조차 확인할 수 없는 탓에 전사 후에도 여전히 유족들 곁으로 돌아가지 못한 이들의 기리는 장소에 ‘일본해’로 게재된 전쟁 추모 지도를 마주하는 것은 결코 유쾌한 상황이 아니라는 목소리가 우세하다.
이와 관련, 최근 아베 일본 총리가 ‘일본해’ 표기에 대해 국제 사회의 유일한 호칭이라며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 ‘일본해’ 표기 논란은 쉽게 사그라 들지않을 전망이다.
지난 12일 국회 중의원 예산심의회에 참여한 아베 총리는 “일본해는 국제 사회에서 확립된 유일한 호칭으로, 이를 변경할 필요성이나 근거가 없다”면서 “이를 국제 기관과 국제 사회에 계속해서 단호하게 주장해 올바른 이해와 우리나라(일본)에 대한 지지를 요구할 것”이라고 ‘일본해’ 표기 논란에 불을 지핀 바 있다.
반면, 우리 정부는 ‘동해’로 단독 표기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 일본과의 합의가 이뤄질 때까지는 동해-일본해 동시 표기를 주장해오고 있는 형편이다.
한편, 일본해 표기 개정 문제를 담당해오고 있는 국제수로기구(IHO) 측은 세계 각국 지도 제작의 지침이 되는 ‘해양과 바다의 경계’ 개정 추진 시 한국 정부가 ‘일본해’ 표기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것에 대해 일본에 ‘관계국(한국)’과 협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와이=임지연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