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현재 뉴사우스웨일스 전역에서 125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이 중 54건은 아직 진화되지 않았다. 현재 약 2100명이 넘는 인력이 투입돼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강풍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산불 연기가 시드니 도심까지 내려오면서 주민들이 각종 호흡기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연기는 고층 빌딩과 하늘이 맞닿은 스카이라인까지 잠식했다. 하늘에서 내려다본 시드니 하버는 마치 유령도시처럼 자욱한 연기 속에 파묻혀 있다.
뉴사우스웨일스에서는 7월 이후 발생한 최악의 산불로 200만 헥타르가 불에 탔다. 7000여 건의 화재로 673채의 가옥이 소실됐으며, 6명이 사망했다.
이 같은 호주의 대형 산불 원인 중 하나로 전문가들은 ‘다이폴 현상’을 꼽고 있다. 다이폴 현상은 인도양을 중심으로 동서쪽에 서로 다른 기상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이런 현상은 극단적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호주기상청의 조너선 폴락은 이번 다이폴 현상이 기록상 가장 강력한 것 중 하나라고 말했다.
가장 우려스러운 대목은 수년간 인도양의 아프리카 쪽 해수면은 따뜻해져 더 많은 비를 촉발하는 반면 맞은편 호주 쪽 해수면 온도는 떨어져 불나기 쉬운 건조한 기후를 만든다는 것이다. 기상전문가들은 기후변화가 심화될수록 호주 산불은 더 자주 발생할 것이며, 피해 범위도 방대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