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 가운데 모바일 휴대폰을 활용한 인터넷 가용인구 수는 8억 9700만 명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약 7992만 명 급증한 수치로, 올 3월 기준 인터넷 사용 인구 중 약 99.3%가 주로 개인 휴대폰을 활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인터넷 가용인구의 월평균 수입 수준에 대한 내용도 공개됐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인구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약 33.4%의 사용자가 월평균 2001~5000위안(약 35~87만 원) 수준의 월소득을 가진 이들로 확인됐다.
반면, 같은 시기 인터넷 사용인구의 72.4%(약 6억 5000만 명)가 월수입 5000위안(약 34만 9000원) 미만의 저소득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시기 전체 인터넷 가용인구 중 월평균 소득 1000위안(약 17만 5000원)미만의 사용자는 약 20.8%를 차지했다. 1000위안 미만의 월소득 이용자 가운데 ‘무소득자’라고 답변한 이들의 비중은 7.1%에 달했다.
다만, 약 14.3%의 사용자가 5001~8000위안대(약 87~138만 원)의 월소득을 기록, 같은 시기 8000위안(약 138만 원)이상의 고소득자 비중도 약 13.3%에 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자의 평균 접속량은 7일 평균 총 30.8시간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18년 같은 동기 대비 약 3.2시간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이에 대해 해당 보고서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터넷 사용자 수가 급증했던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 2014년 초고속 인터넷망의 전국적인 보급 사업 이후 중국인의 평균 인터넷 접속 시간은 2014년(26.1시간) 2015년(26.2시간) 2016년(26.4시간) 2017년(27.0시간) 2018년(27.6시간) 2019년(27.9시간) 이후 7일 평균 30시간을 넘은 첫 사례로 기록됐다. 이에 앞서 지난 2014년 인터넷망의 전국 보급률이 47.9%에 그쳤던 바 있다. 당시 인터넷 사용자 수는 6억 4985만 명에 불과했다.
그러던 것이 이듬해였던 2015년 인터넷의 전국보급률이 50%를 처음으로 넘어섰던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난해 6월 기준 인터넷 보급률이 61.2%를 돌파, 인터넷 가용인구 수가 8억 5449만 명을 넘어서는 등 이 분야의 빠른 성장세가 이어진 바 있다.
특히 올 3월 기준 인터넷의 전국 보급률은 64.5%를 넘어섰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사용자 수의 폭발과 사용 시간의 급증 현상이 목격됐다고 해당 보고서는 분석했다. 한편, 이 시기 중국인들이 가장 선호했던 온라인 서비스는 웨이신, 웨이보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 사용자가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했던 애플리케이션은 ‘웨이신’(微信), ‘웨이보’(微博) 등 SNS로, 인터넷 사용 시간 중 약 14.8%의 비중을 해당 SNS 애플리케이션에 할애했다고 집계했다. 이어 온라인 영상 플랫폼 ‘텅쉰’(腾讯), ‘아이치이’(爱奇艺), ‘요우쿠’(优酷), ‘쏘후’(搜狐) 등의 이용 비중은 13.9%, ‘더우인’(抖音), ‘하오칸스핀’(好看视频), ‘콰이쇼우’(快手) 등 15초미만의 쇼트클립 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11.0% 이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음원 사이트 △온라인 문학 제공 서비스망 △신문 등 언론 서비스 △생방송 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등에 대한 이용 비중이 그 뒤를 따랐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