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이하 현지시간) 스트레이츠 타임스 등에 따르면, ‘스폿’이라는 이름의 이 로봇 개는 지난 8일부터 싱가포르 비샨-앙모쿄 공원에 투입돼 방문자들의 안전거리 확보와 관리를 돕고 있다.
2주간 시범 운영되는 스폿은 방문자가 가장 많은 피크 시간대에 최소 1명의 공원 관계자와 함께 공원 내 리버플레인스 구간 3㎞를 순회하며 사람들에게 “여러분과 주위에 있는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최소 1m 떨어져 있어 달라”는 안내 방송을 전하고 있다.
스폿은 또 싱가포르 디지털정부청이 개발한 영상 분석 가능 카메라를 장착해 방문객 수를 추정하는 임무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이 카메라는 특정 개인을 추적하거나 인식할 수 없고 개인 자료 또한 수집할 수 없다.
스폿은 다른 바퀴 달린 로봇들보다 장애물을 더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어 다양한 지형에서 운용하기에 적합하다. 1m 이내의 물체나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안전 센서도 장착해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디지털정부청은 원격 제어와 3D 지도화, 반자율 제어 등 다양한 기술로 스폿을 강화하며 지금까지 테스트를 원활하게 진행해 왔다. 이는 스폿이 방문자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를 확인할 분석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비샨-앙모쿄 공원을 관리하는 싱가포르 국립공원위원회는 해당 공원의 방문객 수를 파악하기 위해 드론(무인항공기) 30대도 배치하고 있으며 웹사이트를 개설해 사람들이 공원에 오기 전 얼마나 많은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고 사람들이 덜 붐비는 근처 다른 공원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공원위원회 측은 또 주롱 레이크 가든스와 같은 여러 공원에도 스폿의 투입을 고려하고 있다.
싱가포르 내 스폿 시범 운영을 맡은 총리실 산하 ‘스마트 네이션 디지털 정부그룹’(SNDGG)은 다른 여러 기관에서도 스폿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폿을 코로나19 경증 환자들을 격리해둔 창이전시센터에 투입해 의약품 등 필수품을 전달하는 업무를 돕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