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코로나, 인종차별 이어… ‘괴물 독두꺼비’ 번식에 긴장하는 미국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생태계 파괴범으로 꼽히는 수수두꺼비


확대보기
▲ 생태계 파괴범으로 꼽히는 수수두꺼비


확대보기
▲ 생태계 파괴범으로 꼽히는 수수두꺼비
일명 ‘괴물 독두꺼비’로 불리는 수수 두꺼비가 미국 일대에서 대규모로 번식하고 있어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수수두꺼비는 머리 뒤쪽에 맹독을 내뿜는 독 분비샘을 가지고 있다. 이 두꺼비를 먹은 반려동물들은 독에 중독되기도 하고, 병을 옮기기도 해 생물 다양성을 해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뱀과 악어도 이 두꺼비 앞에서는 꼼짝하지 못할 정도로 강력한 독을 내뿜는데, 최근 수수두꺼비가 플로리다 남부 일대에서 대량 번식하고 있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마이애미헤럴드 등 현지 언론의 3일 보도에 따르면 플로리다주에 사는 한 여성은 지난달 말 SNS에 수수두꺼비로 인한 피해 사례를 공개했다. 자신을 주부라고 밝힌 이 여성은 “누가 이 ‘괴물들’을 없앨 방법을 알려달라”면서 “(수수두꺼비들이) 내 개를 공격할 것 같은 두려움에 죽을 지경”이라고 호소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플로리다 일부 지역에 비가 많이 내린 이후 많은 수수두꺼비가 범람한 물을 타고 민가 인근까지 넘어와 번식하고 있다. 만약 기상청의 예보대로 올여름에 예년보다 습한 날씨가 이어진다면 두꺼비가 낳은 올챙이가 ‘무사히’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반려견을 공격할 위험도 높아진다는 우려가 쏟아졌다.

플로리다대학의 윌리엄 컨 교수는 “번식할 만한 물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수수두꺼비 개체 수는 더욱 극심하게 늘어날 것”이라면서 “아마도 사람들은 지금보다 훨씬 더 자주 이 수수두꺼비를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사람이 수수두꺼비 탓에 피해를 입는 사례는 많지 않지만, 반려동물에게는 매우 치명적인 동물로 꼽힌다. 몸집이 거대할 뿐만 아니라 대형견의 목숨을 단번에 앗아갈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독을 내뿜기 때문이다.

만약 반려견이 이 두꺼비에게 물리거나, 독이 내뿜는 부위와 살짝 접촉하기만 해도 경련과 심장마비 등의 증상 이후 목숨을 잃을 수 있다.

때문에 당국은 수수두꺼비의 번식이 활발해지는 장마철에는 반려견을 더욱 철저히 관리·보호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컨 교수는 “마당의 잔디를 짧게 깎아 수수두꺼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반려견의 먹잇감을 실내에 두어 야외 활동을 줄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수수두꺼비에 의해 생태계 피해를 입은 국가 중 하나는 호주다. 수수두꺼비는 1935년 당시 북동부 해안에서 사탕수수를 먹어치우는 딱정벌레를 없애기 위해 도입했는데, 대량 번식이 가능하고 연간 60㎞까지 이동할 수 있는 능력 덕분에 몇몇 천적의 개체 수를 마구잡이로 줄였다.

일부 지역에서는 악어와 도마뱀 몇 종이 멸종됐는데, 전문가들은 멸종 원인으로 수수두꺼비를 지목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男 8명이 남편 앞에서 아내 집단 강간…신혼부부에게 벌어진
  • ‘회사 내 성관계’ 동영상 수백개 유출…결국 정부가 나섰다
  • (속보)충격적 팀킬…“북한군, 전투서 러시아군 향해 총격”
  • 북한군 파병 진짜 이유?…“러軍 하루 평균 사상자 1500명
  • 사망한 시신 옮기다 어머니라는 걸 알게 된 구급대원…당시 상
  • 이란 대학 캠퍼스서 “속옷 시위” 벌인 여대생 체포
  • 세계서 가장 큰 뱀은 무엇? 길이·무게로 나눠 보니…
  • 5년 후 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 ‘아포피스’…지구 중력에 산
  • 목에 낫 꽂힌 ‘뱀파이어 유골’ 정체 밝혀졌다…생전 모습 복
  • 이집트 피라미드 꼭대기서 발견된 미스터리 ‘개’…정체 밝혀졌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