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3일, 여전히 코로나19 감염을 두려워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예방 빈랑나무 열매가 퇴치제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보도했다.
태평양 연안과 동남아시아, 동아프리카 등지에서 폭넓게 자라는 빈랑나무는 종려나무의 일종으로, 특히 인도와 중국, 태국, 대만에서는 식후나 평소에 이를 씹어 졸음을 퇴치하는데 쓰기도 한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1980년대부터 후난성에서는 빈랑나무 재배를 산업화했고, 현재도 200만 명이 열매를 가공하는 등 관련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대체로 열매인 빈랑을 건조된 형태로 판매하며, 일부 지역에는 술이나 담배를 권하듯 상대방에게 나무의 열매인 빈랑을 권하는 풍습이 남아있다.
문제는 중국 당국이 2017년 당시 빈랑의 성분인 아레콜린을 발암물질로 규정한 후에도 ‘빈랑나무 열매 사랑’은 식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아레콜린은 동물의 구충제 제조에도 사용되는 유독성 물질이다. 특히 빈랑나무를 많이 재배하는 후난성에서는 구강 점막이 만성적으로 헐어서 점차 딱딱해지는 질병인 구강 점막하 섬유증 발병 빈도가 높다. 구강 점막하 섬유증은 후두에서 발생하는 구강 편평 상피 세포암이라는 일종의 구강암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올해 2월 중국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이 정점을 찍었을 당시, 중국 국가보건위원회는 중의학에 근거에 빈랑을 코로나19 바이러스 퇴치 효과가 있는 식품 중 하나로 꼽았다. 동물 구충제에 활용되는 만큼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를 제거하는데도 효과가 있다는 것.
이후 후난성에서는 사람들과 접촉이 잦은 환경미화원이나 택시 운전사에게 마스크와 함께 빈랑을 나눠주는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빈랑에 대한 사랑을 포기하지 못하는 후난성 사람들 사이에서는 2016년 한 해 동안 2만 5000여 명의 구강암 환자가 발생했다. 이코노미스트는 후난성 구강암 환자 수가 2030년에는 30만 명까지 폭증할 수도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위험한 열매’에 대한 수요가 줄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