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과학

[와우! 과학] “포유류의 초기 조상은 후손보다 훨씬 오래 살았다”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불로불사는 인간의 오랜 꿈 중에 하나지만, 우리는 정해진 수명을 살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인간의 수명이 포유류 가운데 긴 편이라는 사실이다. 우리의 가까운 친척인 고릴라는 보통 수명이 35~40세 정도이고 침팬지는 야생 상태에서 이보다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쥐나 토끼 같은 소형 포유류는 야생 상태에서 수명이 몇 년에 지나지 않은 경우가 흔하다. 그나마 코끼리 정도가 수명이 길어 인간과 비슷하게 60~70세까지 살 수 있다.

하지만 최근 과학자들은 포유류의 오랜 조상은 후손보다 훨씬 오래 살았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영국 브리스톨 대학과 핀란드의 헬싱키 대학의 연구팀은 2억 년 전 살았던 포유류의 초기 조상인 모르가누코돈(Morganucodon)과 쿠에네오테리움(Kuehneotherium)의 이빨 화석을 분석해 이들이 얼마나 오래 살았는지 분석했다.

이들은 모두 땃쥐 크기의 소형 설치류로 2014년에 발표된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먹이를 먹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당시 과학자들은 이빨 화석에 있는 미세한 마모 흔적 분석해 모르가누코돈은 단단한 외피를 지닌 곤충을 잡아먹었지만, 쿠에네오테리움은 날파리 같은 부드러운 곤충을 주로 먹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브리스톨 대학 엘리스 뉴햄 박사는 보존 상태가 우수한 모르가누코돈과 쿠에네오테리움의 이빨 화석을 더 상세히 분석하기 위해 강력한 싱크로트론 X선을 사용했다. 평생에 걸쳐 이빨이 새로 나는 파충류와 달리 포유류의 영구치는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평생 동안 유지된다. 그런데 영구치의 아래 부분인 치조(tooth socket)에는 나이테 같은 성장선이 존재한다. 연구팀은 이 귀중한 이빨 화석을 파괴하지 않고 내부를 세밀하게 들여다보기 위해 강력한 X선을 사용한 것이다. (사진)

연구 결과 모르가누코돈의 수명은 14년, 쿠에네오테리움의 수명은 9년 정도로 밝혀졌다. 비슷한 크기의 현생 설치류가 야생 상태에서 1-2년 내로 죽는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들의 수명은 포유류 가운데 예외적으로 긴 것이다. 연구팀은 이 두 초기 포유류만 예외적으로 수명이 긴 것이 아니라 당시 포유류의 일반적인 특징이었다고 보고 있다. 화석에 있는 미세 혈관의 크기를 확인한 결과 혈류량이 현생 포유류보다 낮아 대사량 역시 낮았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초기 포유류는 현생 포유류처럼 대사 활동이 활발하지 못해 성장과 노화가 늦어 수명이 길었다는 이야기다.


포유류의 진화는 수억 년에 걸쳐서 일어났다. 털과 땀샘, 높은 체온 등 현재 포유류의 특징은 한 번에 등장한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진화가 누적된 결과물이다. 따라서 초기 포유류는 현생 포유류의 특징도 일부 지녔지만, 성장 및 노화 속도는 아직 파충류와 더 비슷한 부분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가설이 옳다면 초기 포유류는 현생 포유류보다 움직임은 느린 대신 더 오래 살았을 것이다. 원시적인 포유류라고 해도 반드시 나쁘기만 했던 것은 아닌 셈이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수십 년 동안 문이나 괴던 돌 알고보니 15억원 가치 ‘호박
  • 타이어에 덮힌 러 전략폭격기…이유는 미사일 ‘어리둥절’
  • (속보)푸틴, ‘치명타’ 입었다…러 수도, 우크라 대규모 공
  • “중국인이다”…아기에 뜨거운 물 붓고 도주한 男 신상 공개
  • 5년 뒤 지구로 돌진하는 초대형 소행성, 충돌 예측 결과 공
  • 최대 길이 8m…심해 3300m서 초희귀 ‘빅핀 오징어’ 포
  • 15살 소년, 수년간 ‘연쇄 강간’ 저지른 이유…“5살 피해
  • 우크라 포로를 ‘칼’로 처형한 러軍…의미심장한 메시지 남겼다
  • 종 다른 원숭이끼리 교배→잡종 탄생 최초 확인…“위험한 신호
  • “빨리 날 죽여줬으면”…러軍, 항복한 자국 병사들에 무차별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