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최근 과학자들은 포유류의 오랜 조상은 후손보다 훨씬 오래 살았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영국 브리스톨 대학과 핀란드의 헬싱키 대학의 연구팀은 2억 년 전 살았던 포유류의 초기 조상인 모르가누코돈(Morganucodon)과 쿠에네오테리움(Kuehneotherium)의 이빨 화석을 분석해 이들이 얼마나 오래 살았는지 분석했다.
이들은 모두 땃쥐 크기의 소형 설치류로 2014년에 발표된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먹이를 먹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당시 과학자들은 이빨 화석에 있는 미세한 마모 흔적 분석해 모르가누코돈은 단단한 외피를 지닌 곤충을 잡아먹었지만, 쿠에네오테리움은 날파리 같은 부드러운 곤충을 주로 먹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브리스톨 대학 엘리스 뉴햄 박사는 보존 상태가 우수한 모르가누코돈과 쿠에네오테리움의 이빨 화석을 더 상세히 분석하기 위해 강력한 싱크로트론 X선을 사용했다. 평생에 걸쳐 이빨이 새로 나는 파충류와 달리 포유류의 영구치는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평생 동안 유지된다. 그런데 영구치의 아래 부분인 치조(tooth socket)에는 나이테 같은 성장선이 존재한다. 연구팀은 이 귀중한 이빨 화석을 파괴하지 않고 내부를 세밀하게 들여다보기 위해 강력한 X선을 사용한 것이다. (사진)
연구 결과 모르가누코돈의 수명은 14년, 쿠에네오테리움의 수명은 9년 정도로 밝혀졌다. 비슷한 크기의 현생 설치류가 야생 상태에서 1-2년 내로 죽는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들의 수명은 포유류 가운데 예외적으로 긴 것이다. 연구팀은 이 두 초기 포유류만 예외적으로 수명이 긴 것이 아니라 당시 포유류의 일반적인 특징이었다고 보고 있다. 화석에 있는 미세 혈관의 크기를 확인한 결과 혈류량이 현생 포유류보다 낮아 대사량 역시 낮았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초기 포유류는 현생 포유류처럼 대사 활동이 활발하지 못해 성장과 노화가 늦어 수명이 길었다는 이야기다.
포유류의 진화는 수억 년에 걸쳐서 일어났다. 털과 땀샘, 높은 체온 등 현재 포유류의 특징은 한 번에 등장한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진화가 누적된 결과물이다. 따라서 초기 포유류는 현생 포유류의 특징도 일부 지녔지만, 성장 및 노화 속도는 아직 파충류와 더 비슷한 부분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가설이 옳다면 초기 포유류는 현생 포유류보다 움직임은 느린 대신 더 오래 살았을 것이다. 원시적인 포유류라고 해도 반드시 나쁘기만 했던 것은 아닌 셈이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