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개발한 유인잠수함이 수심 1만m 심해의 수압을 견디고 깊은 바다에 안전하게 가라앉았는데 성공했다.
신화통신 등 현지 언론의 10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이 개발한 유인잠수함은 한달 전 중국 하이난성을 출발해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구인 마리아나 해구로 향했다.
중국은 마리아나 해구에서 실시한 유인잠수함 테스트에서 기존 기록보다 800m 더 깊은 수심 1만 909m까지 잠수하는데 성공했지만, 세계기록 경신에는 실패했다.
현재 세계기록은 2019년 5월 미국 해저탐험가 빅터 베스코보가 세운 것으로, 당시 유인잠수함을 타고 수심 1만 927m에 도달했었다. 중국은 불과 18m 차이로 세계기록 경신을 놓치게 됐다.
중국 당국은 아쉬움을 표하면서도 유인잠수함과 같은 첨단 다이빙 장비를 이용해 해저에 잠자고 있는 풍부한 자원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감추지 않았다.
당국 관계자는 인민일보와 한 인터뷰에서 “심해 탐사는 심해 자원과 관련한 국제적 전략을 더 잘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면서 “예컨대 일본은 2년 전 태평양에서 희토류 자원을 발견했다. 발견된 해저의 매장량은 육지의 1000배에 달한다. 해저는 완전히 새로운 세계”라고 말했다.
스마트폰과 미사일 시스템, 레이더와 같은 첨단 장비 생산에 필수적인 희토류는 중국 주요 지역에서 매우 엄격하게 통제된 채 채굴과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희토류와 같은 한정된 자원에 대한 희소가치가 높아지자 중국 기업들은 그린란드 등 북극 지역의 희토류 관련 기업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다만 희토류를 노리는 국가가 중국 한 곳만은 아니다. 2018년 일본에서 ‘희토류 대박’이 터졌을 당시, 로이터는 인도 역시 잠재적으로 채굴하고 수출할 수 있는 희토류 등의 광물을 찾기 위해 10억 달러 이상을 지출할 준비가 돼 있다는 보도를 내놓았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수심 1만m의 심해까지 가라앉을 수 있는 유인잠수함 개발에 열을 올리는 이유가 이러한 희소 자원 채굴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분석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