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시각 장애인 안내견은 지난 4월 기준 200여 마리에 불과하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중국의 시각 장애인이 800만 여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턱없이 부족한 규모다.
미국 CNN은 23일 보도에서 “중국의 시각 장애인 8만 5000명 중 한 명만 안내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면서 “그러나 미국은 전혀 앞을 보지 못하거나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 50명 당 1마리꼴로 안내견이 보급돼 있고, 영국은 매년 2000마리 이상의 안내견이 이러한 사람들을 위한 훈련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세계 최초의 시각 장애인 안내견 학교가 등장한 곳은 독일이다. 독일은 세계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부상으로 앞을 보지 못하게 된 군인을 위해 안내견 학교를 만들었고, 미국에서는 1929년, 영국에서는 1940년에 안내견 학교가 문을 열었다.
반면 중국은 중국에서 최초로 안내견 훈련 시설이 등장한 것은 불과 14년 전인 2006년이다. 해당 시설이 문을 열었을 때, 약 5만 명의 중국 시각 장애인이 안내견을 받길 원했지만, 실제로 안내견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람은 단 2명에 불과했다.
해당 센터는 현재 다양한 교육 단계에 있는 후보 안내견 100마리를 훈련시키고 있고, 매년 20마리의 ‘졸업견’을 내보내고 있지만, 안내견을 기다리는 장애인 수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CNN은 “일반적으로 안내견 훈련센터를 열거나 운영하기 위한 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게다가 국제 맹도견 연맹(IGDF)에서 인정하는 자격을 얻으려면 매우 엄격한 평가를 통과해야 하는데, 충분한 자금이 없는 사람들에게 이는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부족한 자금과 더불어 또 하나의 문제점은 시각 장애인 안내견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부족하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지난 4월 산시성의 한 교통경찰이 시각 장애인을 가장해 안내견과 함께 버스를 타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버스 운전기사와 승객 일부는 안내견과 함께 버스를 타느라 다소 시간을 끈 실험참가자를 나무랐고, 이 모습은 현지 SNS를 통해 확산되면서 시각 장애인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단번에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밖에도 공공장소에서의 안내견에 대한 현지 법이 모호한 부분도 중국에서 안내견이 판다보다 희귀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만드는데 한몫을 한다고 CNN은 분석했다.
한편 우리나라의 안내견 양성 사업은 199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으며, 현재 70여 마리의 안내견이 시각장애인 보조견으로 활동 중이다. 지난 6월에는 시각 장애인이자 국민의힘 소속의 국회의원인 김예지 의원이 시각 장애인의 안내견 출입 거부 등을 막는 일명 ‘조이법’을 발의하기도 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