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사하공화국에서 빙하기 때 죽은 것으로 추정되는 어린 털코뿔소의 사체가 발견됐다.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해 연구가치가 높은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털코뿔소(woolly rhino)는 신생대 제4기인 플라이스토세(世)에 아시아와 유럽 북부 초원에서 살았던 동물로 강원도와 경기도에서도 화석이 발굴된 바 있다. 플라이스토세에는 인류가 발생해 진화한 시기로 빙하로 덮여 몹시 추웠던 시기이다. 당시 추위로 인해 많은 거대동물들이 멸종한 가운데 털코뿔소는 살아남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후 사람에 의해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베리아에 있는 사하공화국 아비스키 지역의 영구동토층에서 지난 8월 발굴된 털코뿔소의 사체는 털가죽뿐만 아니라 치아와 내장 일부 등 다양한 신체 조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털코뿔소의 내장이 거의 완벽하게 보존돼 있는 덕분에, 수만 년 전 죽기 직전에 마지막 식사로 어떤 먹이를 먹었는지까지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사 결과 이 털코뿔소는 2만~5만 년 전 이 지역에서 서식한 생후 36~48개월의 새끼이며, 여름 무렵 강에서 익사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아직 방사성탄소연대측정 분석이 끝나지 않아 공식적인 서식 시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이번 발견은 2014년 당시 또 다른 새끼 털코뿔소의 사체가 발굴됐던 장소 인근에서 이뤄졌다. 당시 발굴된 것은 약 3만 4000년 전 해당 지역에 서식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이번에 발견된 새끼 털코뿔소의 사체가 이비스키 지역에서 유일하게 발굴된 것이자, 사하공화국에서 발굴된 두 번째 새끼 털코뿔소의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하공화국 과학아카데미의 고생물학자인 알버트 프로토포프는 “이 지역 인근에서 발견된 일련의 고대 동물들은 대체로 강에서 익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사체 상태가 매우 잘 보존돼 있는 것이 공통점”이라면서 “특히 이번에 발견된 새끼 털코뿔소 역시 장기의 일부가 보존돼 있어, 이 동물들이 어떻게 먹고 살았는지 자세히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