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처음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난 가운데, 여전히 바이러스 기원을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런 가운데 팬데믹 초기 당시 당국으로부터 감염병의 위험 정도와 확진자 규모 등을 거짓으로 보고하라는 압박을 받았다는 중국 우한 의료진의 폭로가 나와 논란이 예상된다.
영국 ITV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우한 의료진들은 2019년 12월 당시 바이러스의 치명성 및 이로 인한 사망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중국이 이를 세계보건기구(WHO)에 알린 것은 1개월 정도가 흐른 1월 중순이었다.
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람간 전염을 일으킨다는 사실도 이미 알고 있었지만, 병원 측이 “진실을 말하지 말라”고 강요했고, 당국 역시 감염 우려가 있으니 춘제(한국의 설과 같은 대명절) 관련 행사를 모두 중단하라는 의료진의 요청을 거부했다는 주장도 했다.
현지의 한 중국 의료진은 “우리 모두는 해당 바이러스가 사람간 전염된다는 사실에 대해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느꼈다. 하지만 우리가 병원 회의에 참석했을 때 이러한 사실을 말하지 말라고 들었다. 지방 관료들 역시 병원 측에 진실을 말하지 말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을 담은 다큐멘터리에는 대만의 감염병 전문가도 등장한다. 대만 감염병 예방 및 치료 네트워크의 한 전문가는 “바이러스가 확인된 뒤 중국 본토에 들어가 관계자들에게 많은 질문을 던졌다. 하지만 정확한 사항은 그들(중국)만 알고 있었다”면서 “왜 중국은 사람 간 전염이 가능한 이 문제(바이러스)를 다른 나라에 더 일찍 알리지 않았나”라고 비난했다.
중국과 더불어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코로나 초기 부적절한 대응을 했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WHO가 바이러스에 대한 첫 번째 상황 보고서를 발표하기 전까지 중국에서는 최소 278명의 감염자가 발생했고 이미 다른 3개 국가로 퍼진 상황이었다.
AFP통신에 따르면 ‘팬데믹 준비 및 대응을 위한 독립적 패널’(IPPR)이 18일(현지시간) 발표한 두 번째 보고서에서 “WHO가 코로나19 긴급위원회를 지난해 1월 22일 전까지 소집하지 않았고,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 선포도 주저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WHO는 코로나19가 2019년 말 보고됐지만, 이듬해 1월 22∼23일 처음 긴급위를 소집했고,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의 경우 두 번째 긴급위 회의가 열린 같은 달 30일에야 선포했다.
그러나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응급판공실의 쑨양 주임은 “우리는 매우 광범위하고 철저하게 엄격한 예방·통제 조치를 실시했다“면서 ”IPPR 보고서의 일부가 사실과 맞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WHO는 현재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위한 국제 전문가팀을 중국에 보내 본격적인 현지 조사를 앞두고 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