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벌이나 나비처럼 일반적인 곤충이 아니라 파리처럼 좀 다른 곤충에 의존하는 식물은 향기 대신 악취를 풍기는 경우도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꽃인 라플레시아가 대표적이다. 꽃가루를 옮기기 위해 파리를 유혹해야 하는 경우 향긋한 냄새보다 음식이나 시체 썩는 냄새가 더 유용하기 때문이다. 사실 인간 관점에서 향기나 악취일 뿐 모두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냄새라는 점은 동일하다.
그런데 드레스덴 대학의 과학자들은 그리스에 서식하는 한 식물이 냄새뿐 아니라 모양까지 시체를 모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악취를 풍기는 식물인 아리스톨로치아 미크로스토마(Aristolochia microstoma)의 꽃이 매우 못생겼을 뿐 아니라 근연종과는 달리 땅 근처에 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파리를 유인하는 식물이라도 날아다니는 곤충인 만큼 식물의 위가 아니라 아래에 꽃이 핀다는 사실은 특이했다. 연구팀은 그 이유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이 꽃이 풍기는 악취의 원인 물질은 2,5-디메틸피라진(2,5-dimethylpyrazine)으로 확인됐다. 이 물질은 척추동물의 사체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딱정벌레 같은 곤충 사체에서 발견되는 물질이다. 연구팀은 땅 근처에 갈색으로 피어나는 꽃이 딱정벌레 모습을 모방한 것이고 냄새 역시 마찬가지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꽃 주변에 모이는 곤충 1457마리를 수집했다. 가장 많이 채집한 곤충은 딱정벌레 사체를 좋아하는 벼룩파리였다. 연구팀이 조사한 곤충 가운데 꽃가루를 옮길 수 있는 곤충은 벼룩파리뿐이다. 따라서 못생긴 갈색 모양과 독특한 악취, 그리고 땅 근처에 피는 이상한 꽃은 모두 벼룩파리를 유인하기 위한 최적의 전략인 셈이다.
이 식물은 꽃의 목적이 아름다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결국 종족 번식에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인간의 눈에 예쁜 꽃이나 못생긴 꽃 모두 본래 목적은 사람이 아닌 곤충의 시선을 끄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이상해 보이는 아리스톨로치아의 꽃 역시 목적에 맞는 가장 완벽한 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