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일반

홀로 버틴 ‘기적의 집’마저 꿀꺽…라팔마섬 용암 바다까지 콸콸

작성 2021.09.30 10:59 ㅣ 수정 2021.09.30 10:59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세계 이슈 케챱 케챱 유튜브 케챱 틱톡 케챱 인스타그램
확대보기
▲ 반세기 만에 대폭발을 일으킨 라팔마섬에서 홀로 버티고 서 있었던 ‘기적의 집’이 결국 용암에 녹아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AP연합뉴스
반세기 만에 대폭발을 일으킨 화산섬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주택 한 채가 결국 용암에 녹아내렸다. 29일 스페인 매체 엘문도는 용암이 솟구치는 화산섬에서 홀로 버틴 ‘기적의 집’이 결국 잿더미가 됐다고 보도했다.

지난 19일 아프리카 북부 대서양에 있는 라팔마섬 쿰브레 비에하 국립공원이 폭발했다. 반세기 만에 분화한 화산은 섬 전체를 집어삼킬 듯 맹렬한 기세로 시뻘건 용암을 내뿜었다. 화산섬이 분출한 용암은 사방으로 뻗쳐 흐르면서 주택 600여 채와 농경지 260헥타르를 태웠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지만, 70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6㎞ 높이까지 솟구친 화산재 때문에 항공편 운항도 중단됐다.

확대보기
▲ 덴마크 80대 노부부의 별장만은 ‘불지옥’이 된 화산섬에서 꿋꿋하게 살아남았다. 화산섬에서 솟구친 엄청난 양의 용암은 유독 이들 별장만 비껴갔다. 까만 잿더미 속에서 홀로 버티고 선 별장을 사람들은 ‘기적의 집’이라 불렀다./AP연합뉴스
그러나 덴마크 80대 노부부의 별장만은 ‘불지옥’이 된 화산섬에서 꿋꿋하게 살아남았다. 화산섬에서 솟구친 엄청난 양의 용암은 유독 이들 별장만 비껴갔다. 까만 잿더미 속에서 홀로 버티고 선 별장을 사람들은 ‘기적의 집’이라 불렀다. 현지 사진작가가 드론으로 촬영한 사진에서는 온통 새까만 화산섬에서 주황색 지붕을 내밀고 있는 별장을 확인할 수 있다.

별장을 직접 지었다는 주민은 “집이 멀쩡한 걸 보니 기쁘다. 집주인들도 집이 잘 버텨줘서 다행이라고 말했다”며 안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덴마크 사업가 라이너 코크 부부는 은퇴 후 라팔마섬 주택 한 채와 주변 포도밭을 사들여 별장으로 썼다. 코로나19 이후 섬을 찾지 못했는데, 그 사이 화산이 폭발을 일으켰다.


확대보기
▲ 용암이 흐르는 길목을 아슬아슬하게 비켜서 있던 별장은 경로를 벗어난 용암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졌다. 차갑게 식은 용암 바위가 12m 높이 언덕을 형성하면서 용암 흐름을 차단했고, 언덕에 막혀 주춤한 용암이 기존 경로를 벗어나 사방으로 퍼지면서 별장은 물론 남아있던 농경지까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첫 폭발 후 10일 가까이 마치 요새처럼 서 있던 별장은 그러나 방향을 바꾼 용암에 끝내 파묻히고 말았다. 별장 주인은 28일 집이 완전히 녹아내렸다고 확인했다. 그는 “모든 것이 파괴됐다. 사랑하는 섬의 모든 것을 잃었다”면서 “나도 아내도 망연자실한 상태”라고 밝혔다.

용암이 흐르는 길목을 아슬아슬하게 비켜서 있던 별장은 경로를 벗어난 용암에 속수무책으로 무너졌다. 차갑게 식은 용암 바위가 12m 높이 언덕을 형성하면서 용암 흐름을 차단했고, 언덕에 막혀 주춤한 용암이 기존 경로를 벗어나 사방으로 퍼지면서 별장은 물론 남아있던 농경지까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확대보기
▲ 지난주 바다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됐던 용암은 첫 폭발 후 9일 만인 28일 대서양에 가 닿았다./AP연합뉴스


확대보기
▲ 뜨거운 용암이 바닷물과 만나면서 해안에는 수증기로 인한 거대 구름이 형성됐다. 스페인 정부는 이날 라팔마섬을 재난 지역으로 분류하고, 용암과 바닷물 접촉으로 폭발과 유독가스 배출이 발생할 수 있다며 대피를 당부했다./AP연합뉴스
같은 이유로 용암이 바다에 도달하는 데도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지난주 바다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됐던 용암은 첫 폭발 후 9일 만인 28일 대서양에 가 닿았다. 뜨거운 용암이 바닷물과 만나면서 해안에는 수증기로 인한 거대 구름이 형성됐다. 스페인 정부는 이날 라팔마섬을 재난 지역으로 분류하고, 용암과 바닷물 접촉으로 폭발과 유독가스 배출이 발생할 수 있다며 대피를 당부했다.

라팔마섬은 쿰브레 비에하와 그 기생화산이었던 테네기아 등 두 개의 화산을 포함한 화산섬이다. 쿰브레 비에하는 1949년과 1971년 20세기 단 두 번의 분화를 마지막으로 쉬고 있던 활화산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분화가 11월까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추천! 인기기사
  • 딸에게 몹쓸짓으로 임신까지...인면수심 남성들에 징역 20년
  • 지옥문 열렸나…이란 미사일에 불바다 된 이스라엘 하늘
  • 기적이 일어났다…엄마가 생매장한 신생아, 6시간 만에 구조돼
  • 1살 아기 성폭행한 현직 경찰, ‘비겁한 변명’ 들어보니
  • 마라톤 대회서 상의 탈의하고 달린 女선수에 ‘극찬’ 쏟아진
  • 러시아, 발트해 앞마당도 뚫렸다…우크라의 러 함정 타격 성공
  • 이란의 ‘놀라운’ 미사일 수준…“절반은 국경도 못 넘었다”
  • 비극적 순간…도망치는 8살 아이 뒤통수에 총 쏴 살해한 이스
  • ‘회당 5만원’ 피(血) 팔아 생계 책임지던 10대 사망…유
  • 온몸에 철갑 두른 러 ‘거북전차’ 알고보니 전략 무기?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김성수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