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보다

[지구를 보다] ‘바닷속 밀림’ 청정 원시 산호초 발견…장미 형상 진귀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22일(현지시간) CNN은 최소한의 빛만 닿는 ‘약광층’ 경계에 청정 산호초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사람 손이 닿지 않은 저 깊은 바다는 무한한 우주의 심연만큼이나 신비롭다고 설명했다./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확대보기
▲ 유네스코 지원을 받아 해양환경을 연구하는 프랑스 수중사진가 알렉시스 로젠펠드는 지난해 11월 타히티 바다에서 우연히 거대 산호초를 발견했다. 수심 30~65m 사이에 자리한 산호초는 길이가 3㎞, 너비 30~65m에 이르렀다. 장미꽃 형상의 산호 군락이 인상적이었는데, 그중 가장 큰 산호는 지름이 2m에 달했다.
남태평양 타히티 해역에서 원시 그대로의 산호초가 발견됐다. 22일(현지시간) CNN은 최소한의 빛만 닿는 ‘약광층’ 경계에 청정 산호초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사람 손이 닿지 않은 저 깊은 바다는 무한한 우주의 심연만큼이나 신비롭다고 설명했다.

유네스코 지원을 받아 해양환경을 연구하는 프랑스 수중사진가 알렉시스 로젠펠드는 지난해 11월 타히티 바다에서 우연히 거대 산호초를 발견했다. 수심 30~65m 사이에 자리한 산호초는 길이가 3㎞, 너비 30~65m에 이르렀다. 장미꽃 형상의 산호 군락이 인상적이었는데, 그중 가장 큰 산호는 지름이 2m에 달했다.

확대보기
▲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확대보기
▲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확대보기
▲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로젠펠드 작가는 “길게 뻗어있는 거대하고 아름다운 장미 산호를 보고 마술인 줄 알았다. 예술 작품 같았다”고 극찬했다. 산호초 발견 이후 조사팀은 약 200시간 동안 잠수하며 산호초를 조사했다. 앞으로도 몇 달간 바다에 들어가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산호초는 모두 수심 25m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 그보다 더 깊은 바다에서 산호초가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네스코는 “이례적 발견이다. ‘약광층’(弱光層)에 더 많은 산호초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평가했다. 수심 200~1000m 약광층은 햇빛이 도달하는 마지막 경계 지점이다.


확대보기
▲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확대보기
▲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이번에 발견된 원시 산호초가 수온 상승으로 인한 표백 현상에서 자유로운 건 약광층 초입이라는 입지적 이점 덕분이다. 산호초는 빛을 너무 많이 쬐면 스트레스 반응으로 ‘백화 현상’이 나타나고 고유의 색을 잃는다. 하지만 깊은 바다에 있는 산호초는 최소한의 빛을 통해 성장과 번식을 하면서도, 깊은 수심 덕에 수온 영향은 적게 받는다. 산호초가 원시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할 수 있었던 이유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레티시아 헤두인 박사는 “약광층 경계에서 발견된 산호초는 수온 상승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렇게 깨끗한 산호초 발견은 미래 해양환경 보존 및 보호에 영감을 줄 것이다”라고 밝혔다.

확대보기


확대보기
▲ 사진 @Alexis.Rosenfeld/Lacaz’a Productions
산호초는 해양 생태계의 주요 식량원이자 안식처다. 전체 바다에서 산호초가 차지하는 면적은 0.2%에 불과하지만, 전체 해양 생물의 25%가 산호초에 서식한다. 산호초는 지구 환경 정화에도 기여한다. 산호초와 공생하는 편모조류는 광합성을 위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공급한다. 사실상 ‘바닷속의 밀림’이다. 또 해안 침식과 쓰나미, 태풍으로부터 연안을 보호하는 방파제 역할도 한다.

하지만 지구 온난화로 수온이 상승하면서 최근 10년 사이 전 세계 산호초 14%가 백화 현상으로 사라졌다. 세계산호초감시네트워크가 유엔 환경기금 지원을 받아 73개국 1만 2000개 지역의 산호초를 조사한 결과,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만 1,700㎢의 산호초가 사라졌다. 서울시 면적(605㎢)의 약 20배가 파괴된 셈이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현재 해저 지도는 약 20% 정도밖에 완성되지 않았다. 앞으로 발견될 것이 훨씬 더 많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깊은 바다에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산호초가 해양 생태계 붕괴 저지의 실마리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부인 외도 목격한 경찰이 상간남 창밖으로 던져…사적제재 논란
  • 18세 女, 남편 사망 후 산 채로 화장됐다…‘순장’ 강요한
  • 男 8명이 남편 앞에서 아내 집단 강간…신혼부부에게 벌어진
  • 충격적인 ‘아기 공장’ 적발…“20여명 합숙하며 돈 받고 출
  • (속보)충격적 팀킬…“북한군, 전투서 러시아군 향해 총격”
  • “‘부부 강간’은 성폭력 아니다”…‘강간 공화국’ 인도 법원
  • 11살 때 ‘성노예’로 IS에 끌려간 소녀, 10년 만에 ‘
  • 사망한 시신 옮기다 어머니라는 걸 알게 된 구급대원…당시 상
  • 이란 대학 캠퍼스서 “속옷 시위” 벌인 여대생 체포
  • 에베레스트서 100년 만에 발견된 산악인 유해…최초 등정 역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