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크라스노야르스크 딕손 기상관측소에 북극곰 한 마리가 나타났다. 딕손은 러시아 북극해에 딸린 카라해 연안의 작은 항구 도시로 북극곰과 흰돌고래, 해마 등의 얼마 남지 않은 서식지다.
경계심 가득한 눈빛으로 주변을 맴돌던 북극곰은 관측소 연구원들에게 다가가 주둥이를 내밀었다. 난간 사이로 쑥 들어온 북극곰 주둥이에는 웬 깡통 하나가 달려 있었다. 먹이를 찾아 다니다 인간이 버린 깡통을 보고 혀를 쑥 넣었다가 뚜껑 사이에 걸린 모양이었다.
지친 기색이 역력한 북극곰은 사람들이 상태를 살피는 동안 얌전히 입을 벌리고 있었다. 도와달라는 무언의 신호인 듯 보였다. 사람이 버린 쓰레기 때문에 목숨이 위태로워진 야생 동물이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는 모순적 상황이었다.
하지만 깡통 안쪽까지 깊숙이 박힌 북극곰의 혀는 좀처럼 빠지지 않았다. 더 세게 잡아당겼다간 자칫 날카로운 깡통 모서리에 북극곰의 혀가 크게 다칠 수 있었다. 현지 주민은 “곰이 직접 우리에게 와서 혀를 내밀었다. 하지만 곰에게 정신적 충격을 주지 않고 돕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라 구조를 포기했다”고 설명했다. 또 북극곰이 굶주림과 갈증에 지쳐 뒷다리를 부들부들 떨었다고 전했다.
딕손 주민들은 러시아 연방 천연자원감독청에 북극곰 상태를 알렸다. 현지에는 의료 시설이 전무해 외부의 도움이 절실했다. 지원 요청을 받은 모스크바동물원 수의사와 전문가들은 21일 북극곰을 구하기 위해 3420㎞를 날아갔다.
현장에 도착한 의료진은 북극곰에게 진정제를 투여하고 깡통 제거 수술을 진행했다. 러시아 연방 천연자원감독청장 스베틀라나 라디오노바는 “북극곰은 80~90㎏ 사이 어린 암컷이었다. 수의사들은 성공적으로 깡통을 제거했으며, 북극곰 혀에 난 여러 개의 상처를 치료했다”고 밝혔다. 이어 “며칠간 북극곰 상태를 관찰한 뒤 마을과 100㎞ 떨어진 자연 서식지로 돌려보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모스크바동물원장 스베틀라나 아쿨로바는 “북극곰의 회복을 돕기 위해 물고기 50㎏도 준비했다”고 부연했다.
북극곰은 세계자연보전연맹(ICUN)이 지정한 취약(VU) 등급 멸종위기종이다. 현재 2만∼2만 5000마리가 서식하고 있으며, 이 중 7000마리는 러시아에 살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북극곰의 주 무대인 바다 얼음, 즉 해빙이 빠르게 녹으면서 북극곰 개체 수도 감소 추세에 접어들었다.
서식지 감소와 먹이 부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북극곰은 쓰레기장에서 생존을 모색하고 있다. 사람이 사는 마을을 찾은 북극곰이 쓰레기장을 뒤지는 모습이 흔해진 이유다. ‘깡통 북극곰’이 구조된 크라스노야르스크 북쪽 타이미르반도에서 최근 2년간 연구를 진행한 러시아 전문가들도 북극곰이 얼음이 있는 북극으로 이동하지 않고 육지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이대로 가다가는 세기말 북극곰이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현실이 될 가능성이 크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