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상황 속에서 지난 13일 오전 ‘시진핑 파면’과 선거권을 요구하는 현수막을 내건 남성이 등장하면서 그의 정체에 대한 관심이 연일 뜨겁다. 13일 오전 베이징시 하이덴취의 베이징대에서 도보로 불과 5분여 거리의 다리 ‘쓰통교’에 ‘PCR검사 대신 밥을, 봉쇄 대신 자유를 달라’, ‘거짓말 대신 존엄을, 문화대혁명 대신 개혁을, (인민)영수 대신 투표를 달라. 노예가 되는 대신 공민이 되고 싶다’는 등의 문구를 적은 대형 현수막이 달렸다. 또 다른 한 장의 현수막에는 ‘독재자 시진핑 파면’이라는 문장이 붉은색 페인트로 적혀 다리 밖으로 내걸렸다.
이후 현장에 출동한 무장 경찰과 군인들에 의해 다리 위 현장에 있었던 한 남성이 긴급 체포되면서 그의 신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공개된 것이 없다. 하지만 중국 내부에서는 현장에서 촬영된 영상과 사진 속의 이 남성은 노란색 안전모와 붉은색 작업복을 입고 있었던 것이 확인됐다.
그는 당시 긴급 출동한 무장 경찰에 의해 황급히 경찰차에 실려 호송되면서 자취를 감춘 상태다. 이후 중국 내부의 소셜미디어와 해외 SNS에서는 이 신원을 알 수 없는 남성을 두고 ‘민주화 투사’, ‘탱크 전사’, ‘베이징 쓰통교 전사’로 칭하며 관심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시 주석의 3연임 결정이 내려진 당 대회를 앞둔 시점에서 전례없이 도발적인 내용의 현수막이 걸린 것과 관련해 민주화 인사 왕단(52)도 중국 내부에 존재하는 민주화 열망을 확인했다면서 기대감에 가득 찬 목소리를 냈다. 왕단은 지난 1989년 톈안먼(천안문) 민주화 운동 주역 중 한 명으로 이 신원 불명의 남성을 두고 ‘중국의 새로운 탱크 전사가 등장했다’고 평했다. 톈안먼 민주화 운동 당시 시민들을 향해 돌진하는 탱크를 막아섰던 한 중국 시민을 빗댄 표현이다.
이날 현수막 내용이 외부에 알려진 직후 왕단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에 ‘베이징 쓰통교 전사사건’이라고 이번 일화를 지칭하며 “매우 민감한 시기에 한 남성 영웅이 큰 대가를 치를 각오를 하고 모두 앞에 섰다. 중국 공산당은 그를 무사히 내버려두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면서도 “대체 누가 중국에는 용감한 전사가 없다고 말했느냐”면서 “이 신원을 알 수 없는 중국인의 용기에 매우 큰 충격을 받았다. 그는 이 시대의 새로운 탱크전사”라고 했다.
임지연 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