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의 학술 격월간지 포린폴리시가 지난 24일 주최한 온라인 세미나에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동아시아정책을 보좌하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보좌관으로 활동했던 에반 메데이로스 조지타운대 교수가 참석해 이 같은 비관적 전망에 힘을 실었다.
에반 메데이로스 교수는 향후 5년간 중국의 정치·외교에 영향을 미칠 20대 정치국 상무위원들을 겨냥해 “가장 놀라운 점은 시 주석이 공산당을 얼마나 완전하게 장악했는지를 직접 두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는 점”이라면서 “시 주석의 권력이 최고로 극대화된 시점에서 중국 공산당은 내부적으로 균형을 요구할 목소리가 완전히 사라졌다”고 했다.
그는 “리창 정치국 상무위원이 차기 총리가 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면서도 “하지만 이는 그동안 중국 총리들이 최소 5년 이상 부총리로 취임해 경력을 쌓았던 공산당의 관례를 완전히 비껴가는 것이다. 이는 현재의 중국이 기존의 규범을 준수하는 것보다 시 주석 1인에 대한 충성심을 얼마나 보였는지를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했다.
이와 함께, 20차 당대회 폐막식 당시 후진타오 전 국가주석이 강제 퇴장당한 것으로 의심되는 사건에 대해서도 논의가 진행됐다. 당시 사건과 관련해 미국의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의 제임스 팔머 부편집장은 “시 주석의 권력이 가장 강한 수준으로 극대화됐다는 것을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의도적인 사건”이라면서 “과거의 공산당이 당내 문제 해결에서 고위급 원로들의 목소리에 경청해야 했다. 하지만 이날 시 주석이 후진타오 전 주석을 강제로 퇴장시키면서 모든 권력이 자신에게 쏠렸다는 것을 공공연하게 증명하려 했고, 실제로 의도한 대로 증명이 됐다”고 했다.
그는 이어 “후진타오 전 주석의 마지막 뒷모습은 이 자리에 있었던 모든 고위 관료들에게 시 주석이 모든 것을 통제하고 있으며 그가 원한다면 그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준 사건이 됐다”고 덧붙였다. 또 이 매체는 왕이 외교부장이 정치국 위원으로 승격된 것과 관련해 ‘왕이가 중국 외교 분야의 1인자로 자리매김하면서 과거의 양제츠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한편, 왕이 부장은 과거 중국 외교부장으로 취임하기 이전 대만 국무원 사무국장 등을 역임했다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대만 해협 사이의 관계 회복에 기대가 쏠린 분위기다. 반면 이 매체는 ‘왕이 외교부장의 정치국 위원으로의 발탁이 대만해협의 관계 회복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내다봤다.
특히 이 매체는 오는 2024년 새 총통 선거를 앞둔 대만에서 각 정당들은 중국과의 통일 문제에 시종일관 강경한 목소리를 내는 분위기에 집중했다. 이에 대해 ‘현재 중국 내부에는 강력한 수준의 민족주의가 대두되고 있다’면서 ‘시 주석이 대만과 전쟁을 벌이겠다고 해도 누구도 말리지 않고, 오히려 전쟁을 반기는 분위기가 연출될 수도 있다’고 했다.
임지연 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