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통신이 공개한 사진은 13일(이하 현지시간) 얼굴이 공개되지 않은 두 사람이 헤르손 시내의 나무 기둥에 각각 묶인 채 고개를 숙이고 있는 모습을 담고 있다. 나무에 묶인 두 사람 주위로 헤르손 주민들이 몰려든 모습도 볼 수 있다.
AP통신은 “(나무에 묶인 사람들은) 러시아군이 헤르손을 점령했을 당시 그들을 도운 ‘협력자’로 의심되는 이들”이라고 설명했다.
사진 속 이들이 언제, 어떻게 체포됐는지는 공개되지 않은 가운데, 이호르 클리멘코 우크라이나 경찰청장은 12일 “약 200명의 경찰관이 헤르손시에 배치됐다”면서 “러시아군이나 협력자 식별을 위한 검문소를 설치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러시아 협력자 색출, 주민 갈등 유발하기도 최근 우크라이나군은 잇따라 탈환한 러시아 점령지에서 러시아 협력자 색출 작업에 열을 올려왔다. 일각에서는 이 작업이 현지 주민들의 갈등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 당국자들은 러시아의 지시를 따라 학생들에게 러시아식 교육을 진행한 교사들을 비난해왔다. 우크라이나의 정체성과 언어를 훼손하려는 전쟁에 동의하고 우크라이나의 국가 존재를 부정하는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하는 것은 심각한 범죄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협력 여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는 사실이다. 지난 9월 22일 뉴욕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당국은 탈환한 지역에서 경찰관, 현지 당국 근무자와 일부 교사들을 협력자로 분류해 조사하고 있다.
하르키우 지역의 한 검찰은 “얼마나 적극적으로 협력했는지를 따져서 처벌 수위를 정할 것”이라고 했지만, 러시아군이 점령했을 당시의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생계를 이어나가야 한다는 부담감에 러시아의 요구를 따른 시민들은 손가락질을 받고 있다.
하르키우에 사는 세르히 살티우스키는 자신의 자동차로 숨진 우크라이나인을 옮긴 뒤 러시아군으로부터 스파게티와 소고기 통조림이 든 배급을 받았다. 살티우스키는 “마을 전체를 무덤으로 만들 수는 없지 않느냐. (숨진) 여자와 아이들을 옮겨야 해서 힘들었지만 누가 그 일을 할 수 있었겠나”라고 반문하며 “하지만 사람들은 이제는 내게 손가락질하며 ‘(러시아) 협력자’라 한다”고 토로했다.
우크라이나가 최근 헤르손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것으로 우려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당국은 도망친 러시아군이 남긴 부비트랩을 제거하고 민간인 행세를 하며 헤르손에 남아있는 일부 러시아 군인들을 찾기 위한 안정화 조치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헤르손 수복, 우크라군 최대 성과...“역사적인 날”
한편, 헤르손 수복은 개전 이래 우크라이나군 최대 성과 중 하나로 꼽힌다. 헤르손이 남부와 동부를 잇는 요충지인 동시에 크름반도의 상수원이자 전력발전원이기 때문이다.
이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2일 “오늘은 역사적인 날”이라며 기쁨을 표했다.
뉴욕타임스는 “헤르손 주민들이 축제 분위기를 즐기는 동안에도 멀리서 시 외곽의 포격 소리와 지뢰 폭발음이 들렸다”고 보도했다.
이어 “하지만 헤르손 주민들은 밤늦게까지 전조등이나 손전등 등에 의지해 러시아군 점령기 때 금지됐던 자국 노래를 부르며 다시 맞은 자유를 즐겼다”고 덧붙였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