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해군은 함정에서도 무인기를 운용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좁은 갑판에서도 이착륙이 가능한 MQ-8 파이어스카웃이 있다. MQ-8 파이어스카웃은 소형 유인 헬리콥터를 개조하여 무인 헬기로 만들었다. 첫 기체인 RQ-8A는 슈바이처의 소형 3인승 330SP를 개조했고, 2000년 1월 첫 비행에 성공했다.
미 해군은 RQ-8A의 성능에 만족하지 못하여 채택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개발 프로그램은 계속 진행되었고, 4엽 프로펠러 채택 등 일부 개량된 RQ-8B가 만들어졌다. RQ-8B는 2006년 MQ-8B로 재명명되었는데, 헬파이어 미사일 같은 무장도 탑재가 가능해졌다. 2014년에는 미 해군 연안전투함(LCS)에 탑재되면서 함상 운용이 시작되었고, 미 해군은 30대를 구매했다.
미 해군은 MQ-8B보다 뛰어난 성능의 VTOL 무인기를 요구했고, 노스롭그루만은 벨 407 헬기를 기반으로 MQ-8C를 개발했다. MQ-8C는 2013년 10월 첫 비행에 성공했고, 2014년 12월부터 미 해군에 배치가 시작되었다. MQ-8C도 LCS에서 함상 운용이 가능하며, APKWS 등 다양한 무장을 탑재할 수 있다.
2023년 2월 초 외신을 통해 미 해군이 MQ-8B는 모두 퇴역시켰고, MQ-8C는 38대 가운데 10대만 운용하고 나머지 28대는 레벨 2 보관 처리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레벨 2 보관은 작전 가능 상태에서 선택된 구성 요소를 제거한 상태의 보관을 의미하는데, 1년 이내의 기간 동안 보관이 추천되고 있다. 즉, 퇴역이 아닌 나중에 임무 복귀를 위한 보관 처리로 볼 수 있다.
현재 MQ-8C는 전기광학/적외선(EO/IR) 센서와 레이저 지시기가 포함된 정찰 장비로 전술 목표에 대한 탐지, 추적, 목표 데이터 전송, 전투 피해 평가 수행을 수행할 수 있다. 미 해군은 LCS에 배치할 기뢰 대응 임무 패키지를 지원하기 위해 MQ-8C를 배치할 예정이다. 미 해군은 기뢰 탐지를 위해 MQ-8C에 단일 시스템 다임무 항공 기뢰 탐지(SMAMD) 시스템을 장착할 예정이며, 2022년 5월 탑재 시연을 진행했다.
현재 일부 국가에서 MQ-8 파이어 스카우트와 유사한 해상작전용 VTOL 무인기 개발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의 한국항공우주산업(KAI)도 해군 함정에 탑재할 VTOL 무인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