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현지시간) AP 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최근 부흘레다르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석탄의 선물’을 의미하는 이 마을은 면적이 1.41㎢에 불과한 작은 곳이지만, 도네츠크에서도 몇 안 되는 고지대 중 한 곳으로 지리적으로 중요하다. 우크라이나군 입장에서 마을이 러시아군에 넘어가면 인근 중요 보급로가 방해되고 향후 반격을 위한 발판 마련에도 어려움이 커진다.
또 마을은 도네츠크의 행정 구역 경계선 뿐만 아니라 크름반도와 돈바스(도네츠크, 루한스크주) 지역을 잇는 철도와도 가깝다. 러시아가 이를 점령하면 도네츠크를 비롯해 루한스크까지 돈바스 전역을 장악하려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목표에 한걸음 더 나갈 수 있다.
그러나 러시아군은 최근 우크라이나군의 기급 반격에 심각한 손실을 입었다. 우크라이나군 당국이 이날 공개한 드론 사진에는 러시아 전차·장갑차 수십 대가 손실되는 모습이 담겼다. 앞서 영국 국방부도 러시아군이 이 지역에서 최소 30여대의 전차·장갑차를 잃는 등 상당한 피해를 겪었다고 밝혔다. 피해를 입은 러시아 부대는 제155해군보병여단(해병대) 소속으로 알려졌다. 한 러시아 군사 블로거는 “우리 정예 부대가 ‘앉아 있는 오리’(쉬운 목표)가 됐다”며 단 한 번의 전투로 최소 31대의 전차·장갑차를 잃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러시아군은 대대 규모의 정찰대를 파견해 우크라이나 측 전선을 조사하고, 북쪽의 핵심 보급로인 N15 고속도로를 향해 나아가고자 우크라이나 측 진지를 향해 포격을 가하고 있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최근 발언에서 “러시아군이 부흘레다르에서 ‘성공적으로’ 진격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주민 300명 남아 있어
그러나 지금까지 남아 있는 주민들은 앞으로도 그대로 머물 것이라고 말한다. 현지 경찰관인 올렉산드라 하브릴코는 남은 주민들에게 마을을 떠나달라고 간청하고 있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지하실에 숨어 하루하루를 보내며, 전투가 소강 상태에 있을 때만 밖으로 나와 마을 유일의 피난처에서 휴대전화를 충전하고 보급품을 지급받는다. 마을의 아이들은 단 1명을 제외하고 모두 대피했다. 마지막 남은 15세 소년은 아버지와 헤어지기 싫다는 이유로 마을을 떠나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하브릴코는 “마을에는 대피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여러 번 시도했다”면서 “이 중 대다수는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떠나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