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P 등 외신의 25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3일 동안 우크라이나군은 마리우폴의 러시아군 밀집 지역에 최소 18차례의 공습을 가했다. 특히 남부 요충지인 마리오폴을 되찾기 위한 정밀 타격을 최소 3차례 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리우폴 시장의 고문인 페트로 안드류셴코는 23일 “우크라이나군이 (마리우폴) 러시아군 밀집 지역에 3차례의 정밀 타격을 가했다”고 전했고, 뉴욕타임스는 “마리우폴 공항과 철강 공장 인근에서 이틀 연속 폭발이 일어나 도시가 흔들리기도 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의 이번 마리우폴 공격은 서방이 제공한 사거리 70~80km의 정밀 유도 무기인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이나 M270 다연장로켓포 등의 사거리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추측을 낳고 있다.
올렉시 다닐로프 우크라이나 국가안보보좌관은 “우리 군은 마리우폴을 침공한 러시아 테러리스트들을 섬멸한다”면서 “오늘날 우리에게 거리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밝혔다.
나탈리야 후메뉴크 우크라이나군 남부사령부 대변인도 국영 TV에 출연해 “현 단계에서 사거리는 매우 상대적인 개념”이라면서 “마리우폴 전선이 우리에게 절대적으로 도달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뉴욕타임스는 “이번 마리우폴 공격의 타격 양상과 우크라이나군의 발언 등을 비춰볼 때, 우크라이나가 신무기를 손에 넣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우세하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가 손에 넣은 ‘신무기’로 거론되는 것 중 하나는 미국과 스웨덴이 공동 개발한 사거리 150㎞의 지상발사형 소구경 폭탄(GLSDB)다. GLSDB는 360도 어느 방향이든 타격이 가능하고, 1m 크기의 표적에 대한 정밀 타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GLSDB는 사거리가 150㎞에 달하는 만큼, 러시아의 주요 군사 목표물이나 마리우폴과 이어진 크름반도를 타격하기에 매우 용이한 무기 체계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는 서방측에 해당 무기의 지원을 호소해 왔다. 전쟁 분석가들은 GLSDB가 전쟁 초중반 당시 강력한 위력을 발휘한 하이마스에 이어 새로운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일각에서는 우크라이나군이 사거리 120㎞ 이상인 옛소련제 다연장로켓포 ‘스메르치’를 기반으로 우크라이나가 자체 개발한 다연장로켓포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언급했다.
미국, 러시아의 봄 대규모 공세 우려…GLSDB 지원 확정러시아가 올봄 대규모 공세를 펼칠 수 있다는 우려가 갈수록 짙어진 가운데, 미국은 지난 3일 GLSDB를 포함한 21억 700만 달러(한화 약 2조 6951억 원) 규모의 새로운 안보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다.
이에 GLSDB가 우크라이나 무기의 사거리를 두 배로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지만, 사거리가 320㎞를 초과해 우크라이나가 애타게 지원을 요청했던 지대지 미사일 ATACMS(에이태큼스)는 포함되지 않았다. 미국은 러시아 깊숙한 곳의 목표물을 공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에이태큼스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요청을 거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의 이번 마리우폴 타격은 수 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됐던 GLSDB가 이미 우크라이나에 투입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게 했다.
한편, 블라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 23일 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년을 맞아 대국민 화상 연설에서 “동부 전선은 매우 어렵고 고통스럽지만 살아남기 위해 모든 것을 다하고 있다. 남부 전선 일부 지역은 상황이 매우 위험하지만 우리 군인들이 점령군에 대응할 방법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SNS를 통해서도 “우리는 무너지지 않았고, 많은 시련을 극복했다. 우리는 승리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우리 땅에 이 악과 전쟁을 불러들인 모든 이들에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