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볶이를 먹으면서 길을 걷는 모습은 여느 한국 학생들과 다를 바 없는 모습이다.
몽골에는 한국 음식을 판매하는 음식점이 많아지고 있다. 한국어로 된 간판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삼겹살을 파는 음식점도 찾아볼 수 있다. 편의점에는 소주도 판매한다.
몽골에서는 한류가 K-팝과 K-드라마를 넘어 K-푸드로 이어지고 있다.
학교 끝나고 떡볶이…한국 스타일 패션 인기 한국 편의점인 GS25와 CU가 몽골에 진출한 지는 이미 오래된 일이다. 아침과 점심에는 물건을 사기 위해 긴 줄을 서야 할 정도로 많은 사람이 찾는다.
한국 제품들이 진열된 것은 물론, 몽골어나 영어로 번역되지 않고 한국어 그대로 적혀 있는 물건들도 있다. 이같이 판매하는 이유는 한국어로 된 제품을 선호하는 몽골인들의 생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는 것은 몽골 이마트에서도 볼 수 있다. 특히 의류 코너를 둘러보면 한국 옷과 동일한 옷이 팔리고 있다.
벌러르마(만다흐대학교 3학년)는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 한국 스타일로 옷을 입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벌러르마는 케이팝과 한국 드라마를 좋아하는 팬이다. 케이팝을 좋아하는 이유는 아이돌의 외모뿐만 아니라 하나의 곡 안에 춤, 노래, 랩이 모두 섞여 있어 흥미롭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어 배우려는 이유는 ‘한국 드라마’ 때문 한국 드라마는 한국에서 방영됨과 동시에 몽골에서 바로 볼 수 있다고 한다.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주된 이유도 드라마 때문이라고 한다.
몽골국립대학교에 다니는 볼가마(한국어과 4년)는 한국 드라마를 통해 한국어를 배울 수 있어 도움이 된다고 했다.
원래 연령층별로 시청하는 드라마 장르가 다르기 마련인데 한국 드라마는 장르에 상관없이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즐겨 시청하고 있다고 전했다.
K-팝, K-드라마, K-푸드, K-편의점, K-스타일이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몽골에서 한류의 미래는 밝을 것으로 전망한다.
최지원 몽골 통신원 cjiwon2385@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