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앞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과거사 인식에 대한 역대 내각의 인식을 계승한다고만 밝혔을 뿐 직접적인 사과는 하지 않았다. 또, 양국의 재계 대표인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게이단렌)이 창설하기로 한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에 피고인 미쓰비시중공업과 일본제철이 참여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게이단렌 측은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아 기대치 이하의 호응이라는 논란이 한국 내에서 제기된 바 있다.
일본 현지의 한 네티즌(shi*****)은 17일 한국 언론의 관련 보도를 인용한 현지 기사의 댓글에 “일본의 입장에서는 해결이 끝난 사안이기 때문에 사죄를 표명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면서 “한국 측은 이러한 일본의 입장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네티즌(tot*****) 역시 “일본은 과거 여러 차례 사죄를 표명했고 이번에도 기시다 총리가 과거 내각의 담화를 계승하겠다고 했다”면서 “애초에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의 체결로 해결된 사안을 한국이 다시 끄집어내고 있는 것일 뿐“이라고 폄훼했다.
이번 정상회담의 개최에 불만을 가진 또 다른 네티즌(pp*****)은 한 발 더 나가 “사죄를 받았으면 하는 쪽은 오히려 일본”이라면서 “그동안 많은 금액의 배상을 하고 몇 번이나 사죄를 했는데도 또 다시 문제로 삼는다. 다수의 일본 국민들은 이번 회담 자체를 원치 않았다”고 날을 세웠다.
이는 지금껏 일본 정부가 유지했던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의 체결에 따라 일제 강점기 조선인 피해자에 대한 배상은 끝났다는 입장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또한 과거사에 대해 내놓은 1982년 미야자와 담화, 1993년 고노 담화, 1995년 무라야마 담화 등을 통해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대한 사죄와 반성의 뜻을 충분히 밝혔다는 입장만 고수해 오고 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현지 소셜미디어 상에서도 이에 대한 논란은 뜨거운 분위기다. 현지의 한 네티즌(mf6*****)은 트위터에 “일본은 사죄의 필요성이 일절 없다. 한국은 거짓된 역사를 바탕으로 계속해서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한국이 일본과의 관계 개선을 원한다면 자국민에게 거짓된 역사를 가르치는 것부터 그만둬야 한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또 다른 네티즌(gon*****)도 “한국이 원하는 것은 영원한 사죄와 배상일 것”이라면서 “이미 해결된 사안을 몇 번이고 뒤집는 상대에게 성의 있는 호응은 불필요하다”고 비꼬았다.
정민욱 일본 통신원 muchung61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