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 환구시보의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는 4일 “한때 반도체부터 선박에 이르기까지, 중국이 절실히 필요로 했던 한국의 제품은 인기가 떨어지고, 중국이 직접 공급하기 시작하면서 (한국은) 점점 더 곤경에 직면했다”고 전했다.
글로벌타임스는 로이터 통신의 최근 자료를 인용해, 한국의 4월 수출액은 7개월 연속 감소해 3년 만에 최장기 적자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또 이달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2% 감소한 490억 달러라고 덧붙였다.
글로벌타임스는 한국의 수출 감소의 중요한 원인으로 중국 시장에서의 판매 감소를 꼽았다. 한국무역협회(KITA)가 발표한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의 대중국 수출 비중은 19.5%로 집계됐다. 한국의 대중 수출 비중이 20%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05년 이후 처음이라고 매체는 언급했다.
해당 매체는 “중국 고객은 전자 부품 및 자동차와 같은 일부 한국의 ‘우수한 제품’에 더 이상 예전만큼 의존하지 않는다. 대신 중국 공급자로부터 직접 구매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실제로 한국무역협회가 지난 3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전기차, 2차전지, 바이오헬스 등 5대 신성장 산업 모두 수출 점유율에서 중국이 한국보다 우위를 점했다”고 덧붙였다.
또 기술 분석가 마지화의 발언을 인용해 “특히 중국의 주요 수입원이었던 한국 반도체 제품은 중국 현지 산업에 자리를 내줬다”면서 “이러한 대중 수출 감소의 원인은 한국의 외교정책”이라고 꼬집었다.
매체는 한국이 대중국 수출 감소로 인한 공백을 미국 시장이 메우도록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의 대중국 단속에서 점점 더 미국 편에 서려는 성향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과 중국이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한 지 30년이 넘는 동안 ‘공동 이익’이 증가했다면서 “윤석열 대통령의 일방적 조치가 이런 진전을 뒤집고 한국 경제를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 랴오닝대학교 미‧동아시아연구소장 뤼차오 교수는 글로벌타임스에 “현재 한국의 중저가 반도체 제품의 최대 구매자는 중국이다. 그러나 중국이 국내 생산 능력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을 강화하면서 (한국의) 수입이 감소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은 한국 전자제품의 최대 구매국인 중국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을 떼어놓으려 하고, 한국은 딜레마에 직면해 있다”면서 “그러나 결과적으로 중국과 같은 소비 잠재력을 가진 시장은 없다”고 덧붙였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