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현지시간) 러시아 독립매체 더 인사이더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육군 제3독립강습여단(3여단)은 이날 성명을 내고 “러시아 72여단이 바흐무트 전선에서 외곽으로 철수했다”고 밝혔다.
안드리 빌레츠키 3여단장은 “바흐무트 전선에서 러시아 72여단 예하부대인 6, 8중대가 거의 전멸했고, 정찰대도 제압됐다”며 “상당수의 기갑전투차량(전차)이 파괴됐고 상당수의 포로가 잡혔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지상군 사령관 올렉산드르 시르시키도 바흐무트 일부 지역에 있던 러시아 부대들이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으로 2㎞ 이상 후퇴했다고 밝혔다.
이는 러시아 민간 용병업체 와그너그룹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앞서 9일 바흐무트 전선에서 러시아 72여단이 철수했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다만 우크라이나 동부사령부는 러시아 여단이 심각한 손실을 보았다면서도 그들이 여전히 도시(바흐무트)의 남은 부분을 사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세르히 체레바티 사령부 대변인은 “안타깝게도 아직 러시아 여단 전체를 파괴하지는 못했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군 당국과 와그너그룹 등의 발표 내용을 종합하면 러시아군은 현지에 투입한 72여단이 패배하면서 바흐무트 남서부 약 7.7㎢를 포기한 것으로 관측된다.
바흐무트는 지난 겨울 러시아 대공세의 주요 표적 가운데 하나로 러시아가 자국 영토로 병합을 선언한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를 완전히 장악하는 데 필요한 요충지다.
이 요새 도시에서는 러시아의 인해전술과 우크라이나의 버티기로 소모전이 지속돼 제2차 세계대전과 비교될 정도로 짧은 기간에 많은 사상자가 나왔다.
이에 뉴욕타임스(NYT)는 러시아군의 퇴각이 사실로 확인되면 2개월 전 우크라이나가 바흐무트 핵심 보급로에서 러시아군을 격퇴한 이래 가장 중요한 성과로 기록될 전망이라고 짚었다.
그러나 바흐무트를 둘러싼 전투가 우크라이나가 예고해온 ‘대반격’의 일환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도 NYT는 전했다.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