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에서는 가상 납치 사기(virtual kidnapping scam)로 불리는 이 사건은 지난 2020년 뉴사우스웨일스(NSW)주에서 많이 벌어졌던 사건과 똑같다.
먼저 중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기단은 호주 내 중국 유학생들에게 전화해 중국 대사관, 영사관, 경찰 관계자 등을 사칭했다. 이어 이들은 해당 유학생이 범죄에 연루되었다거나 신분이 도용당했다고 속인 뒤 경찰에 체포되거나 추방되지 않으려면 돈을 내야 한다며 해외 계좌로 돈을 입금할 것을 요구했다. 사기단의 범죄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한번 타깃이 된 유학생에게 가족이나 친구와 연락을 끊고 모처로 옮기도록 한 뒤, 손발이 묶여있는 등의 납치 사진을 연출해 찍게 했다. 이를 빌미로 중국의 가족에게 연락해 거액의 돈을 요구하는 것.
실제로 최근 피해를 당한 22세 중국인 여성 유학생은 중국 경찰을 사칭한 사기단에게 자신이 범죄에 연루되어 있다며 돈을 요구 받았으며 17세 중국인 유학생의 경우, 그의 이름으로 된 소포에 밀수품이 있다는 사기에 휘말렸다.
NSW 경찰은 지난 12일 이같은 가상 납치 사기가 지난 4월에만 총 4건이 벌어졌으며 사기꾼들이 요구한 총 금액은 75만 달러 이상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중국 관리라고 주장하는 사람의 전화를 받으면 중국 대사관, 영사관에 전화하거나 학교, 경찰에 연락해 조언을 받으라고 경고했다.
NSW 중범죄 수사대 책임자인 조 도우에히는 "피해자들은 어린 나이에 처음으로 가족과 멀리 떨어져 다른 나라에 살고있다"면서 "이들을 상대로 사기 행위를 벌이는 짓은 너무나 수치스러운 일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지난 2020년에 이어 몇 년 만에 같은 사건이 벌어지는 이유는 팬데믹이 끝났기 때문으로 보인다"면서 "사건 피해자들은 자신들은 물론 가족도 위험으로 몰아넣었다는 생각에 정신적 외상을 겪는다"고 덧붙였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