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위성 사진을 보면 거대한 폭발로 인해 땅과 건물이 완전히 파괴된 것이 드러난다. 이는 폭발이 있기 전 사진과 비교보면 더욱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데 녹색으로 우거진 땅이 폭발로 하얗고 검게 황무지가 된 것처럼 보인다.
러시아의 드론 공격은 지난 13일 새벽 시작됐다. 당시 러시아의 드론 21대가 공격에 나서 이중 17대는 우크라이나의 방공망에 격추됐으나 나머지 4대가 흐멜니츠키 지역 내 군사 시설을 강타했다. 이 과정에서 버섯구름 형태의 거대한 폭발이 발생했다.
이에대해 올렉산드르 심치신 흐멜니츠키 시장은 “지역 내 교육 기관과 의료 시설, 행정 건물, 산업 시설, 다층 건물, 개인 주택이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러시아 국방부는 이번 공격으로 흐멜니츠키에 있는 스타로코스티안티니브 공군기지의 탄약고와 격납고가 파괴됐다고 주장했다. 곧 민간의 피해를 강조한 우크라이나 측과 달리 러시아 측은 군사적인 타격을 입히는데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것. 실제 거대한 폭발이 난 것을 보면 러시아 측 주장처럼 탄약고 등 군사 무기가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친러시아매체 등은 당시 폭발한 탄약이 영국이 제공한 열화 우라늄탄이라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실제 영국은 지난 3월 우크라이나에 지원하는 주력전차 챌린저2의 일부 탄약이 ‘열화우라늄탄’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열화우라늄탄은 우라늄을 농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열화우라늄을 탄두로 만든 전차 포탄이다. 철갑탄에 비해 관통력이 훨씬 높아 걸프전과 유고슬라비아에서 사용됐지만, 열화우라늄이 핵무기 또는 핵연료에 쓰이는 핵분열물질을 추출한 후 남는 물질로 제조한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다만 열화우라늄은 핵분열 연쇄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핵무기로 분류되어 있지는 않다.
여기에 한 술 더 떠 친러시아매체와 민간 군사전문가 등 일각에서는 열화우라늄탄이 터지면서 흐멜니츠키 일대에 방사능이 유출됐다는 주장까지 펴고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