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한 텔레그램 채널에 지난 12일 게시된 이 영상은 러시아군에 이른바 '독전대'(督戰隊)가 존재한다는 일각의 주장과 맞닿아있다. 독전대는 2차 세계대전 때 등장했던 악명 높은 구소련의 부대로 후퇴하거나 도망가는 아군을 사살하는 임무를 맡고있다. 곧 독전대는 자발적으로 전투에 나서는 것을 기대하기 힘들었던 전근대 시절, 병사들에게 죽을 때 까지 싸우도록 강요하는 부대인 셈.
해당 영상을 보면 7명의 러시아군 병사들이 등을 돌려 퇴각하자 3명의 병사가 나타나 이들에게 총격을 가하자 차례차례 쓰러진다. 다만 총격을 받은 병사들이 죽었는지 다쳤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이에대해 우크라이나 통신사인 UNIAN 측은 "해당 영상의 진위 여부를 확인했다"면서 "총격을 벌이는 이들은 러시아의 독전대로, 필요한 경우 치명적인 무력을 사용해 병사들이 전투에서 도망치는 것을 방지한다"고 보도했다. 다만 해당 영상이 게재된 텔레그램 채널이 우크라이나 내무부의 지원을 받는다는 점에서 선전전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러시아군이 이번 전쟁에서 독전대를 운영하고 있다는 주장은 과거 여러차례 나왔다. 앞서 지난해 11월 영국 국방부는 러시아군이 독전대를 운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영국 국방부는 "사기가 낮고 전투하기를 꺼리는 병사들 때문에 러시아군은 아마도 독전대를 배치하기 시작했을 것"이라면서 "도망치는 병사를 쏘는 전술은 러시아군의 낮은 자질과 사기, 무절제함을 증명하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특히 지난 3월 말에도 러시아 텔레그램 채널에 러시아 제5분리특전여단 소속 강습부대 생존자들임을 주장하는 군복 차림 남성 20여 명이 등장하는 영상이 공유된 바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보내는 메시지'라는 이 영상에 등장하는 소속 병사 알렉산데르 고린은 "우리 부대가 후퇴를 결심했지만, 상부가 이를 불허했다"면서 “그들은 우리 뒤에 독전대를 배치하고 위치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했다. 그들은 우리를 한명씩 혹은 부대째 처분하겠다고 위협했다”고 성토했다.
한편 러시아군의 독전대 운영 주장에 대해 지난해 연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오히려 우크라이나군이 독전대를 운용해 “자기네 병사들의 등에 총을 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