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다는 덜 유명하지만, 사실 거미 중에서도 개미를 먹고 사는 종이 있다. 물론 개미는 거미에게 쉬운 먹이가 아니다. 대부분의 개미는 하늘을 날아다니지 않기 때문에 거미줄에 쉽게 걸리지 않는다. 그리고 숨어 있다가 공격하려고 해도 동료가 공격당하면 집단으로 방어하는 습성이 있어 거미 혼자서 감당하기 힘든 상대다. 거미에게는 독이 있지만, 개미 역시 외골격을 녹이는 개미산과 독을 뿜어 자신보다 더 큰 곤충도 쉽게 공격할 수 있다.
결국 개미를 사냥하는 거미가 선택한 대안은 개미처럼 위장하는 것이다. 거미는 곤충이 아니기 때문에 다리가 8개이지만, 앞다리 두 개를 더듬이로 위장하고 허리를 개미 허리처럼 가늘게 만들어 개미를 속일 수 있다. 심지어 일부 거미는 개미의 페로몬까지 모방한다. 이렇게 진화한 ‘개미’ 거미는 개미 무리에 들키지 않고 다가가 자객처럼 몰래 사냥한 뒤 유유히 사라진다. 거미의 감쪽같은 위장 앞에서는 종종 생물학자마저 속는다.
최근 나무의 수지가 굳어 광물화된 호박(amber)이나 코펄(copal) 속 곤충과 절지동물을 연구해 온 오리건 주립 대학 조지 포이너 박사는 누구라도 깜빡 속을 법한 거미 화석을 발견했다. 콜롬비아에서 캐낸 코펄 속에 있는 이 거미는 아무리 봐도 개미처럼 생겼지만, 사실은 미르마라크네 콜롬비아나 (Myrmarachne colombiana)라고 명명된 신종 거미다. 본래 더듬이가 없었지만, 앞다리를 앞으로 뻗어 더듬이처럼 위장하고 허리도 개미 허리로 만들어 영락없는 개미의 모습으로 화석이 됐다.
미르마라크네의 화석은 자연계에서 가장 풍부한 먹이인 개미를 사냥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거미가 개미 흉내를 내왔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정확히 얼마나 오래된 화석인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 포이너 박사에 따르면 이 코펄이 너무 작아 내부에 있는 거미 화석에 손상을 주지 않고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 측정을 위한 샘플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호박이 적어도 2,500만 년 이전의 것이고 코펄은 대개 300만 년 이내에 광물이 된 것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그렇게 오래된 화석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아마도 최대 300만 년 정도 된 화석으로 추정된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