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색왜성은 핵융합 반응의 결과물인 산소와 탄소가 주성분이다. 그리고 남은 가스의 일부가 중력에 붙잡혀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된 대기를 구성한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백색왜성의 대기를 분석해 이보다 훨씬 무거운 원소로 오염된 대기를 지닌 백색왜성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물론 백색왜성마저 대기 오염이 심해서 중금속으로 오염된 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본래 별 주변을 돌던 행성이 백색왜성에 흡수되면서 흔적을 남긴 것이다.
텍사스 대학의 말리아 카오와 동료들은 이런 백색왜성의 데이터를 모아 암석형 외계 행성의 구성 성분과 내부 구조를 연구했다. 백색왜성은 강력한 중력에 끌려온 행성을 우선 산산조각 낸 후 물질을 흡수한다. (사진 참조) 마치 행성을 통째로 믹서기에 간 후 백색왜성의 대기에 뿌리기 때문에 외계 행성을 직접 들여다보지 않고도 내부 구성 물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집한 백색왜성의 데이터가 엄청나게 많아 이를 하나씩 사람이 분석하면 너무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간다. 따라서 연구팀은 AI의 힘을 빌리기로 했다. 유럽 우주국의 가이아 탐사 위성이 얻은 10만 개의 백색왜성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행성에 오염된 대기를 지닌 백색왜성을 찾아낸 뒤 이를 지상 망원경으로 분석해 더 정확히 검증한 것이다.
AI의 도움 덕분에 연구팀은 행성을 꿀꺽 삼켰을 가능성이 높은 백색왜성을 375개나 찾아내 지상의 망원경으로 상세히 관측해 이들을 관측했다. 인공지능의 힘을 빌리지 않고 사람이 했다면 몇 개를 찾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렸을 일을 인공지능 덕분에 훨씬 효율적으로 해낼 수 있게 된 것이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