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운데 ‘메트리오린쿠스과’(Metriorhynchidae)의 악어들은 쥐라기 후기에서 백악기 초반까지 바다를 누볐다. 물론 지금도 바다를 헤엄치는 바다악어가 존재하긴 하지만, 이들은 기본적으로 네 다리를 지니고 있어 땅 위를 걸을 수 있는 반수생 생물이다.
반면 메트리오린쿠스는 아예 다리가 지느러미처럼 변하고 꼬리에도 지느러미가 있어 바다에서만 살 수 있는 해양 파충류로 진화했다. 심지어 전체적인 몸 형태도 돌고래나 훗날 나오는 해양 파충류 후배인 모사사우루스와 더 닮았다.
독일 빌레펠트 자연사 박물관의 스벤 잭스가 이끄는 독일, 영국 과학자팀은 백악기 초반인 1억 3500만 년 전 메트리오린쿠스인 ‘에나리오에테스 슈뢰데리’(Enalioetes schroederi)의 두개골 화석을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분석했다.
이 화석은 백악기 메트리오린쿠스 화석 가운데 보기 드물게 두개골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어 큰 가치가 있지만, 우여곡절을 많이 겪은 화석이다. 본래는 수백 년 전 하노버 근처에서 발견된 화석으로 당시 베를린의 프로이센 지질학 연구소의 하인리히 슈뢰더가 이 화석을 처음 기술했다. 슈뢰데리라는 종명은 물론 이를 처음 연구한 슈뢰더에서 유래했다.
연구팀은 이 화석을 고해상도 CT로 자세히 분석해 내부 구조를 자세히 분석했다. 그 결과 에나리오에테스는 쥐라기 조상보다 바다 생활에 더 적응된 유선형 머리와 큰 눈, 그리고 수중에 적합한 작은 내이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에나리오에테스가 현재의 돌고래처럼 빠르고 민첩한 사냥꾼이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렇게 바다 생활에 잘 적응한 에나리오에테스가 결국 멸종한 이유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한때 돌고래처럼 바다를 누빈 악어의 조상이 있었고 이들이 중생대 생태계의 중요한 한 부분이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