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지구촌에서 벌어지는 두 전쟁은 드론 전쟁으로 불릴 정도로 다양한 드론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하는 만큼 새로운 드론이 개발되고 발전하면서 기존 무기체계인 순항미사일과 경계가 무너지는 현상이 벌어진다. 과거 드론은 일반적으로 정찰을 주목적으로 하면서 회수 후 재사용했지만, 현재는 장거리 자폭 드론을 활용하면서 순항미사일의 역할을 대신하는 상황이 됐다.
이런 경향을 잘 보여주는 곳은 러시아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우크라이나다. 우크라이나는 전쟁 초기에는 소련 시절 개발된 Tu-141 스트리스 제트추진 정찰 드론에 폭약을 탑재해 장거리 공격무기로 사용하기도 했지만 생산된 숫자가 적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 후 다양한 장거리 공격이 가능한 자폭 드론을 개발했지만 대부분 속도가 느린 프로펠러 추진 드론으로 요격될 확률이 높았다.
이런 상황이 개선된 것은 지난 8월 처음 공개된 팔리아니챠(Palyanytsya) 장거리 자폭 드론부터다. 우크라이나는 이 무기를 드론 미사일로 부르는데, 드론과 순항미사일의 기능이 융합되었기 때문이다. 팔리아니챠는 터보제트 엔진을 장착했고, 사거리는 약 700㎞ 정도로 알려졌다.
팔리아니챠와 페클로는 미국에서 지원받은 에이테큼스(사거리 300㎞)와 영국·프랑스 스톰쉐도우·스칼프-EG 공대지 순항미사일(사거리 250㎞)보다 훨씬 긴 사거리를 가지면서 우크라이나에 부족한 장거리 공격 능력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자체 생산하면서 외국 공급망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우크라이나의 드론 미사일은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지난 9월 말 벨라루스는 아스칼론(Ascalon)이라는 터보제트 엔진을 탑재한 정밀 유도무기를 공개했다. 사거리는 310㎞, 약 1시간 비행이 가능하며 10kg의 고폭 파편 탄두를 탑재했다. 형태는 긴 날개를 가진 드론이지만 순항미사일의 역할을 한다.
비슷한 시기 영국 국방부는 프로젝트 브레이크스톱(Brakestop)이라는 저렴한 드론 미사일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원웨이 이펙터(OWE)로 명명된 이 시스템은 200~300kg 정도의 폭발물을 탑재하고 600㎞ 정도를 날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벨라루스와 영국의 사례에서 보듯 우크라이나에서 시작된 무기 간 융합은 앞으로 더 많은 나라에 적용되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