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호의 무기인사이드

경계 무너지는 드론과 순항미사일 [최현호의 무기인사이드]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드론과 순항미사일이 합쳐진 우크라이나의 팔리아니챠가 2024년 8월 우크라니아 전쟁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키이브포스트


현재 지구촌에서 벌어지는 두 전쟁은 드론 전쟁으로 불릴 정도로 다양한 드론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하는 만큼 새로운 드론이 개발되고 발전하면서 기존 무기체계인 순항미사일과 경계가 무너지는 현상이 벌어진다. 과거 드론은 일반적으로 정찰을 주목적으로 하면서 회수 후 재사용했지만, 현재는 장거리 자폭 드론을 활용하면서 순항미사일의 역할을 대신하는 상황이 됐다.

이런 경향을 잘 보여주는 곳은 러시아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우크라이나다. 우크라이나는 전쟁 초기에는 소련 시절 개발된 Tu-141 스트리스 제트추진 정찰 드론에 폭약을 탑재해 장거리 공격무기로 사용하기도 했지만 생산된 숫자가 적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 후 다양한 장거리 공격이 가능한 자폭 드론을 개발했지만 대부분 속도가 느린 프로펠러 추진 드론으로 요격될 확률이 높았다.

이런 상황이 개선된 것은 지난 8월 처음 공개된 팔리아니챠(Palyanytsya) 장거리 자폭 드론부터다. 우크라이나는 이 무기를 드론 미사일로 부르는데, 드론과 순항미사일의 기능이 융합되었기 때문이다. 팔리아니챠는 터보제트 엔진을 장착했고, 사거리는 약 700㎞ 정도로 알려졌다.



확대보기
▲ 2024년 12월 6일 공개된 우크라이나의 페클로 드론 미사일. 출처=X


우크라이나어로 ‘지옥’을 뜻하는 페클로(Peklo)라는 미사일 드론도 비슷한 사양으로 이미 군에 비치돼 여러 차례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팔리아니챠와 페클로는 미국에서 지원받은 에이테큼스(사거리 300㎞)와 영국·프랑스 스톰쉐도우·스칼프-EG 공대지 순항미사일(사거리 250㎞)보다 훨씬 긴 사거리를 가지면서 우크라이나에 부족한 장거리 공격 능력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자체 생산하면서 외국 공급망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우크라이나의 드론 미사일은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지난 9월 말 벨라루스는 아스칼론(Ascalon)이라는 터보제트 엔진을 탑재한 정밀 유도무기를 공개했다. 사거리는 310㎞, 약 1시간 비행이 가능하며 10kg의 고폭 파편 탄두를 탑재했다. 형태는 긴 날개를 가진 드론이지만 순항미사일의 역할을 한다.



확대보기
▲ 우크라이나가 개발한 드론 미사일에서 영향을 받아 개발된 벨라루스의 아스칼론. 출처=X


비슷한 시기 영국 국방부는 프로젝트 브레이크스톱(Brakestop)이라는 저렴한 드론 미사일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원웨이 이펙터(OWE)로 명명된 이 시스템은 200~300kg 정도의 폭발물을 탑재하고 600㎞ 정도를 날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벨라루스와 영국의 사례에서 보듯 우크라이나에서 시작된 무기 간 융합은 앞으로 더 많은 나라에 적용되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아내가 여행 가서 가능”…6~14세 딸 강간·촬영·공유한
  • (영상) 클럽서 춤추고 돈 뿌리고…트럼프 ‘가자 홍보’에 비
  • 美 여행 한국인 여성 3명 실종…‘22중 연쇄 추돌사고’가
  • 점령할 때는 좋았는데…결국 우크라이나에 ‘수렁’ 된 러 쿠르
  • 손 잘린 시신 9구, 고속도로에서 발견…“카르텔 조직의 ‘보
  • “어떤 곳이든 30분내” 美 차세대 ICBM ‘센티넬’ 지상
  • “검사하게 옷 벗고 뛰세요” 여성 환자 불법 촬영한 의사 체
  • 귀엽지가 않아…미국서 잇따라 포착된 ‘거대 금붕어’ 원인은?
  • (영상) 트럼프 다리, 왜 이래?…휜 다리로 절뚝거리는 모습
  • ‘장원영 악플러’ 신상 털던 中팬, 알고 보니 바이두 부사장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