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하이를 처음 방문했던 2018년, 중국인 친구와 함께 현지 가정식 백반을 하는 식당에 갔다가 홍소육을 접했다. 홍소육은 한국 사람들에게 비교적 잘 알려진 동파육과 모양새가 비슷하긴 한데, 고기를 깍뚝썰고 특유의 단맛이 강하다.
장쑤성 지역의 음식으로 유명한 동파육과 달리 홍소육은 모든 지역에서 즐겨 먹는 서민 반찬이다. 동북 지역 음식으로 분류가 되기도 하고, 장쑤성 음식이라고 보기도 하고, 마라의 매운맛을 내는 라자오가 들어가 쓰촨 지역을 근원지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중국의 검색 엔진 바이두(百度)에 홍소육의 유래를 검색하면 북송 시대 때 쓰촨성 메이산(眉山)을 시작으로 추후 장쑤 지역으로 전파되었다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조금씩 변형되면서 항저우의 동파육, 광시 지역의 죽통 동파육 등이 생겼다는 가설도 있다
동파육은 중국 송대의 걸출한 문인이자 정치인, 미식가로도 알려진 소동파(본명 소식·蘇軾)가 만든 음식이다. 소동파는 돼지고기를 예찬한 ‘저육송’(猪肉颂)을 남길 정도로 돼지고기를 좋아했다. 쉬저우에 지주로 부임했던 당시 홍수가 터지자 소동파는 백성들과 함께 제방을 쌓아 성을 지켰고, 이에 감동한 백성들이 감사를 표하기 위해 돼지고기를 바쳤다. 소동파가 선물 받은 고기를 직접 요리해 백성들과 나누어 이 음식이 퍼졌다.
소동파는 동파육 조리법을 다듬었고, 항저우에 부임했을 때 서호 준설 작업에 참여한 인부들에게 나눠준 당시 동파육의 모습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고기를 먼저 찌고 뜸 들이는 조리법을 고수한다. 고깃결이 무너지지 않게 줄로 묶어 곁들일 소스와 탕을 넣는다. 고기 요리의 풍미를 돋굴 때 사용하는 남유즙(南乳汁)을 첨가해 살을 부드럽게 만들고 정교한 작업이 들어간다.
동파육은 백성을 사랑하는 소동파의 마음과 ‘문인의 우아함’을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고급스럽고 정성이 들어간 조리법으로 ‘답례로 고기를 나눠준다’는 회증육(回赠肉)으로 불리기도 한다.
반면 홍소육은 “중국 서민의 가스연기(烟火气)”라 불린다. 중국 요리에 쓰이는 큰 팬인 웍으로 돼지고기를 볶으면서 불맛을 입히기 때문이다. 홍소육은 깍둑썬 고기를 볶은 후 설탕을 넣어 캐러멜라이즈를 하고 라자오로 달짝지근한 맛을 돋운다. 기호에 따라 삶은 달걀이나 채소를 넣어 볶아 마무리해 서민의 식재료에 연기 내음이 물씬 묻어 있는 음식이다.
같은 재료를 쓰지만 모양은 비슷하지만 다른 사연을 가진 동파육과 홍소육의 미묘한 차이를 느껴보는 것도 상하이 미식 여행의 흥미로운 일부가 될 수 있다.
김연수 상하이 통신원 cpti372@gmail.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