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드론을 개발하여 운용해왓다. 하지만 일반 대중은 러시아에 공급한 샤헤드-136 자폭 드론으로 이란의 드론 능력을 인식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이란의 드론 개발은 1980~1988년 치른 이란-이라크전 이후 이슬람 혁명 이전에 서방에서 도입했던 무기가 제재로 쓸모없어진 것을 경험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란의 드론 개발은 비행체 개발에 그치지 않고, 드론에 탑재할 센서와 무기 개발에 이어 드론을 탑재할 새로운 방법 개척으로 확대되고 있다. 6일(현지시간) 이란 혁명수비대는 고정날개·회전날개 드론과 헬리콥터를 운용할 수 있는 모함인 샤히드 바게리(Shahid Bagheri)가 함대에 취역했다고 밝혔다.
이란이 함선에서 드론을 운용하려는 노력은 2022년 7월 전차 상륙함(LST)과 수송선 갑판에 로켓 부스터로 발진시킬 수 있는 드론 여러 대를 실은 사진을 공개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졌다. 당시 외국 전문가들은 탑재된 드론은 정찰용 펠리컨(Pelican), 호마(Homa), 그리고 자폭용 아라시(Arash)와 주빈(Zhubin) 등이라고 분석했다.
이번에 취역한 샤히드 바게리는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등이 보유한 항공모함처럼 항공기 이착함용 갑판을 가지고 있지만, 길이는 매우 짧고, 함수에 경사 램프를 가지고 있다. 이란이 항모에서 운용할 고정익기가 없기 때문에 다수의 고정익 드론을 운용하여 드론 모함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이란 매체가 공개한 영상에는 러시아제 Mi-8 헬기와 미국제 벨 제트레인저 헬기와 함께 형식 불명의 고정익 드론 다수가 등장했다. 이함 장면이 공개된 드론 중 하나는 이란이 2013년 2월 공개한 콰헤르(Qaher)-313 전투기의 축소 버전으로 보이는 JAS-313이라는 제트 추진 드론도 있었다.
2013년 공개 당시 이란은 콰헤르-313이 스텔스 전투기라고 선전했지만 이후에 실물이 비행하는 모습은 한 번도 공개되지 않아 서방의 비웃음을 샀다. 2023년 초 이란 매체는 콰헤르-313이 유인 전투기에서 무인 전투기로 개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영상에 등장한 드론은 형태는 유사하지만 크기가 훨씬 작아진 것으로 보인다.
이란은 샤히드 바게리에 다양한 드론과 헬기를 탑재해 페르시아만과 오만만을 넘어 아라비아해와 홍해까지 작전 구역을 둘 경우 주변 국가들과 이 지역에서 작전하는 미 해군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화물선을 개조한 만큼 서방의 군함이 갖춘 생존성과 방어 능력은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큰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