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화상 카메라와 기관총 만으로 러시아의 샤헤드 자폭 무인항공기(드론)를 격추해온 우크라이나 기동사격단이 레이저 무기까지 갖게 된다고 전해졌다.
우크라이나 무인시스템군(AFU) 지휘관 바딤 수하레우스키 대령은 8일(현지시간) 유튜브 채널 ‘프레싱’에 공개된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군의 핵심 우선순위로 무인 시스템 능력의 지속적 개발을 강조하면서 이렇게 밝혔다고 우크라이나 정부 매체 ‘유나이티드24 미디어’가 보도했다.
수하레우스키 대령은 프레싱 채널 운영자 세르히 페이체우와 만난 자리에서 “우리는 전장을 바꿀 상당한 잠재력을 지녔다. 간단한 기술 솔루션으로 적의 샤헤드 드론과 정찰 드론을 격추해 우리의 전략적 위치 방어를 보장하는 이 프로젝트를 나는 감독한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의 레이저 무기는 이미 시험 단계를 거쳤으며, 금속을 관통하고 2㎞ 이상 고도의 드론과 같은 공중 위협을 격추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 이 기술의 도입은 기존 대론 대응 작전의 변화를 보여준다.
우크라이나 기동사격단은 특수 방공부대들로 운영하며, 24시간 연중무휴로 대비한다. 공습 경보가 발령되면, 이들은 신속하게 배치돼 샤헤드 드론과 정찰 드론을 포함한 공중 위협에 대응한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전날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자국 내 드론 대응 기술의 발전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우리는 드론에 대응하는 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긍정적 결과를 얻는 데 매우 근접했다”면서 “나는 이미 성공적인 결과를 봤지만, 일관된 대규모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은 여전히 내게 우선순위”라고 말했다.
앞서 수하레우스키 대령은 지난 3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드론에 맞서 우크라이나어로 삼지창을 뜻하는 ‘트리주브’ 레이저 무기를 배치했다고 확인했다. 그는 자유유럽방송(RFE/RL)과 인터뷰에서 이 시스템은 러시아 드론과 공중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우크라이나의 전략의 일부라고 말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