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군이 차세대 스텔스 폭격기 B-21 레이더를 공중급유기로 사용하는 것을 검토 중인 것이 알려졌다. 최근 미 공군 수송사령부 사령관 랜달 리드 장군은 미 상원 군사위 청문회에서 B-21에 대한 공중급유 기능 요구 사항에 대해 설명했다. 장군은 자세한 사항은 밝히지 않았다.
B-21은 내부 연료 용량이 매우 크고, 효율성이 높은 기체와 첨단 엔진 덕분에 연료를 공급 없이 비행할 수 있는 항속거리가 매우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공중 급유 기능에 대한 공개는 공군이 차세대 공중 급유 시스템(NGAS) 노력의 일환으로 새로운 스텔스 급유기 계획에 대한 불확실성 속에서 이루어졌다.
B-21을 급유기로 만들면 스텔스 성능으로 인해 적 레이더에 의한 탐지로 인한 취약성을 줄일 수 있다. 급유를 받은 B-21은 더 긴 항속거리로 침투 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B-21을 위한 기존 공중급유기에 대한 수요도 줄이고, 여유분으로 다른 기체 급유를 지원해 전체적으로 작전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꾀할 수 있다. 공중급유기를 담당하는 공군 수송사령부는 오랫동안 평시 공중 급유 수요 증가로 인한 공중급유기 부족 상황을 꾸준히 경고해 왔다.
스텔스 성능을 갖춘 B-21이지만, 공중급유 기능을 갖출 경우 적의 위협이 있는 공중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공중급유 속도를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리드 장군은 연료 이송 시 약간 더 높은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다고 발언했는데, 이것이 급유기가 연료를 공급하는 구체적인 속도와 공급 가능한 총 연료 용량과 관련이 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급유 속도를 높여야 한다.
아직 개발이 진행 중인 B-21은 현재 저율초도생산(LRIP) 로트(Lot) 1 계약을 통해 21대를 생산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에 LRIP 로트 2 21대 계약도 체결됐다. 미 공군은 처음에는 B-21을 100대 조달할 계획이었지만, 연구를 거쳐 총주문량을 145대에서 200대로 늘릴 것이 제안되는 등 추가 구매 가능성이 열려 있다.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