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 흡연의 심각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흡연자와 함께 생활하는 비흡연자는 PM2.5(지름 2.5㎛ 이하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중국 베이징 수준의 환경에서 사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영국 스코틀랜드 애버딘대학의 션 셈플 교수팀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스코틀랜드에서 시행된 흡연 관련 연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흡연자와 사는 비흡연자는 PM2.5 농도가 중국 베이징 등 대기오염이 심각한 도시의 대기 환경에 노출되는 것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이 된 93명의 흡연자가 사는 가정의 평균 PM2.5 농도는 비교 대상이 된 17명의 비흡연 가정보다 약 10배나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 수치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하는 PM2.5의 연간 대기기준을 3배가량 웃도는 것이라고 한다.
만일 비흡연자가 이 사실을 알고 흡연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다면 PM2.5의 양은 약 70%까지 감소할 수 있다. 즉 흡연자가 금연을 하거나 따로 살아야만 비흡연 가족이 피해를 덜 본다는 것.
실내 PM2.5 수치에 대해서는 흡연과의 관계가 꾸준히 지적돼왔다. 따라서 간접 흡연으로 건강에 피해를 보고 있다는 연구가 지금까지도 수차례 발표됐다.
이런 영향 때문인지 이미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다양한 금연 정책을 펼치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도 금연법 등을 내놓으며 간접 흡연의 피해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법 재정에 앞서 자신의 흡연이 타인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피해를 주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타바코 콘트롤’(Tobacco Control) 최근호에 실렸다.
사진=ⓒ포토리아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