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정보업체 듀오(대표 박수경, www.duo.co.kr)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가 공동 운영하는 듀오휴먼라이프연구소에서 ‘연애와 행복 인식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국 미혼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이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미혼남녀의 삶의 행복도를 나타내는 ‘행복 지수’는 100점 만점에 53.5점(남성 54.2점, 여성 52.7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57.6점 대비 4.1점 하락한 것이다. 또 행복을 느끼는 횟수는 주간 약 2.7회였으며, 전혀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는 의견은 16.3%에 달했다.
또한 ‘2015년 행복 기대 지수’는 58점(남 56.6점, 여 59.3점)으로 2014년 행복 기대 지수(62.3점)보다 4.3점 줄었다. 남성의 경우 25~29세 대졸이 61.6점으로 가장 높았고, 25~29세 고졸 이하가 50점으로 가장 낮았다. 반면 여성은 25~29세 대학원 학력이 80점, 25~29세 고졸 이하가 43.2점으로 최고와 최저 지수 간 편차가 제일 컸다.
이들 미혼남녀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로는 경제적 안정(40.3%), 건강(25.1%), 직업적 성공(15.2%) 등이 차지했다.
‘2014년 삶의 만족도’는 44.8점(남 43.6점, 여 45.9점)이다. 남성은 ‘5~39세 대학원 학력이 53.6점으로 가장 높았고, 35~39세 고졸 이하가 33.3점으로 가장 낮았다. 여성은 25~29세 대학원 학력이 70점으로 높고, 35~39세 대학원 학력이 27.1점으로 낮았다.
삶의 주요 구성 요소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외모는 53.8점, 학력 52.6점, 직업 49.6점, 경제 45.1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 만족도가 제일 낮은 편이었는데, 남성은 연소득 2000만원 미만이 40.8점, 여성은 ‘소득 2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이 42점으로 가장 낮게 집계됐다.
미혼남녀의 행복 지수 및 각 요소별 만족도는 ‘교제여부’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남녀의 행복 지수는 결혼을 전제로 교제 중일 때 각각 64.3점, 58.1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솔로 남성(49.5점)과 솔로 여성(49.9점)은 전체 평균치(53.5점)에 크게 못 미쳤다. 즉 연애 중인 커플, 그 중 결혼을 전제로 한 커플이 솔로보다 훨씬 행복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외모(결혼 전제 교제 63.6점, 솔로 49.9점), 직업(결혼 전제 교제 56.2점, 솔로 45.7점), 학력(결혼 전제 교제 57.4점, 솔로 50.2점), 경제(결혼 전제 교제 48.8점, 솔로 42.6점) 등 각 요소별 만족도 또한 혼인을 전제로 한 연애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박수경 듀오 대표는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삼포세대(三抛世代)가 큰 이슈를 모은 데 이어 이제 인간관계, 내 집 마련, 저축 포기까지 더해 ‘육포세대(六抛世代)’란 말이 나온다”며 “삶에 중요한 가치를 포기함으로써 행복에 대한 기대를 낮추고 살아가는 안타까운 현실에 많은 미혼남녀가 적어도 연애와 결혼만큼은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결혼친화적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해 앞장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2014년 결혼리서치는 설문조사 전문회사인 온솔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전국의 25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남녀 1000명(남성 507명, 여성 493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1일부터 12월 18일까지 진행했다.
나우뉴스부 nownew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