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입사지원서를 작성하기에 앞서 그 기업 CEO의 가족관계까지 잘 살펴봐야 할지도 모르겠다. 딸을 키우는 CEO들은 그렇지 않은 CEO들 보다 비교적 자비로운 기업 경영방침을 보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끌고 있다.
마이애미 대학교 헨릭 크론크비스크 교수와 중국·유럽 국제비즈니스 스쿨(China Europe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 프랭크 유 교수는 미국 내 400여 대기업 CEO들이 과거에 내린 사업 방침들을 분석한 뒤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기존 연구들에서 딸을 키우는 판사들은 좀 더 진보·민주적인(liberal) 판결을 내리는 편이며, 이는 국회의원들도 마찬가지라는 사실이 드러난 바 있다”며 “그러나 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연구를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조사 결과 딸을 가진 CEO들의 경우 ‘기업의 사회적 책임’부문에 있어 보다 활발한 활동을 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말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란, 직원들의 육아 권한보장, 탄력적 근무시간 보장, 합리적 정리해고, 직원에 대한 기업이익 공정분배, 여성·미성년자·장애인 직원 처우 개선 등의 사안을 아우르는 것이다.
연구팀은 “딸을 가진 CEO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관련 활동에서 상대적으로 두각을 나타냈다”며 “그러나 아들을 가진 CEO를 둔 기업들은 동일 효과를 보지 못했으며 더 나아가 CEO가 딸을 가진 사람에서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바뀐 기업들은 이러한 사안들에 있어 두드러지는 퇴보를 보였다는 점을 특기할 만하다”고 설명한다.
반면 딸이 있는 CEO를 새로이 기용한 기업들은 그 이후로 사회적 책임 관련 활동이 증강되는 현상이 관찰됐다. 거꾸로, 사회적 책임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활발히 수행해 온 기업들은 딸 있는 CEO를 기용할 확률이 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남성과 여성 CEO를 비교해본 결과 남성 CEO중 딸이 있는 사람들은 여성 CEO들이 내린 것과 유사한 종류의 사회적 책임 관련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미국 상장기업 CEO 중 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 부분에 있어 좀 더 관대한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들은 이어 “부모들은 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딸들 또한 부모의 직장에서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며 “(이렇듯) 자녀들은 부모의 신념과 성향을 결정짓기 마련이며 이는 현재 미국 경제계 최고 사업가들의 실질적 의사결정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사진=ⓒ포토리아
방승언 기자 earn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