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무시한 백상아리도 간식거리 밖에 되지 않는 전설적인 포식자가 있다. 바로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해양동물로 평가받는 ‘카르카로클레스 메갈로돈’(Carcharocles megalodon)이다.
최근 이탈리아 피사대학 연구팀은 메갈로돈의 멸종 이유는 좋아하는 먹잇감 감소가 결정적인 원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름부터 무시무시한 메갈로돈은 2300만 년 전 나타나 260만년 전 멸종한 전설의 상어다. 메갈로돈은 이름 그대로 ‘커다란(Megal) 이빨(odon)’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연골어인 탓에 이빨과 턱뼈만 남아 간혹 발견되고 있다. 특히 약 18m까지 자라는 메갈로돈은 길이 18cm에 달하는 무시무시한 이빨을 가졌으며 무는 힘이 무려 20톤에 달한다. 이는 육상 최고의 포식자였던 티라노사우루스를 능가하는 수준.
그간 학계에서 메갈로돈을 둘러싼 주요 논쟁 중 하나는 멸종 이유였다. 여러 주장들이 오고 간 끝에 나온 대표적인 추론은 기후변화다. 이번 피사대학 연구팀의 결과도 이와 궤를 같이한다. 연구팀은 페루 해안 인근에서 발견된 약 700만년 된, 지금은 멸종된 수염 고래류와 초기 물범류의 화석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두 고대 동물은 약 5m에 달해 메갈로돈에게는 그야말로 영양가 높은 먹잇감.
이 화석에서 연구팀은 메갈로돈의 이빨자국을 발견해 당시 이들이 주식이었음이 확인됐다. 메갈로돈의 위기는 기후변화로 해양의 온도가 떨어지면서 시작됐다. 주로 북반구에 분포했던 메갈로돈의 먹잇감이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한 것.
연구를 이끈 알베르토 콜라레이타 박사는 "상대적으로 덩치가 큰 고래류는 따뜻한 대양으로 이동하며 진화했으나 덩치가 작은 류는 멀리가지 못했을 것"이라면서 "결과적으로 메갈로돈이 좋아하는 먹잇감은 바다에서 점점 사라져갔다"고 설명했다. 이어 "메갈로돈은 살기 위해 한때 덩치가 큰 고래사냥에도 나섰을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살아남지는 못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4월 스위스 취리히대학 연구팀은 메갈로돈의 멸종 이유로 먹잇감 감소와 경쟁자 등장을 지목한 바 있다. 이 논문에서 연구팀은 먹잇감 감소와 고대 범고래 같은 새로운 포식자 등장으로 메갈로돈이 점점 더 먹이 경쟁에 어려움을 겪게 됐다고 주장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