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십 년간 공룡 연구에서 가장 놀라운 변화는 깃털 공룡일 것이다. 공룡과 조류의 연관성은 오래전부터 주장되었으나 깃털 공룡의 발견은 공룡이라는 생물체에 대해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게 만든 계기였다. 공룡은 과거처럼 꼬리를 질질 끌고 다니는 거대한 도마뱀이 아니라 민첩하게 움직이는 새의 조상이 되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공룡의 깃털에 대한 논쟁이 끝난 것은 아니었다.
과학자들은 모든 공룡이 깃털이 있었던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고 있다. 드물기는 하지만 공룡의 피부 같은 연조직이 화석화된 경우가 있고 이를 통해 깃털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티라노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수각류 공룡이 깃털을 지녔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었다. 이와 같은 논쟁에 불을 지핀 것은 2012년 중국에서 발견된 유티라누스 하울리(Yutyrannus hauli)다.
티라노사우루스 상과에 속한 몸길이 9m 정도의 큰 육식 공룡인데 깃털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공룡의 발견은 쥐라기 공원에서 나온 벨라키랍토르 (랩터)처럼 티라노사우루스과의 육식 공룡 역시 실제로는 깃털이 있을 가능성을 보여줬다. 하지만 티라노사우루스과에서 깃털을 확인할 수 있는 화석이 없었기 때문에 논쟁은 계속됐다.
최근 국제 과학자팀은 티라노사우루스와 그 근연종의 피부 화석을 분석해 티라노사우루스에 깃털이 있었다는 증거가 없다는 내용을 저널 바이올로지 레터스(Biology Letters)에 발표했다.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대형 수각류 공룡의 피부 화석은 드물긴 하지만 연구팀은 휴스턴 자연사 박물관에 보존된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의 목, 골반, 꼬리 피부 화석을 분석해 이것이 조류보다는 파충류에 가까운 피부였다(fossilised scaly skin similar to that of modern reptiles)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티라노사우루스는 일각에서 제기된 것처럼 깃털을 가진 공룡이기보다는 전통적인 시각대로 도마뱀과 비슷한 피부를 지닌 공룡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티라노사우루스의 깃털은 생각보다 중요한 과학적 의미가 있다. 만약 공룡의 깃털이 보온을 위한 것이라면 대형 공룡은 깃털이 퇴화할 가능성이 크다. 덩치가 커지면 깃털의 도움 없이도 보온이 가능할 뿐 아니라 오히려 온도를 낮추는 데 애를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 짝짓기나 위장 등의 용도였다면 사라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번 연구는 전자를 지지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유티라누스의 경우를 고려하면 초기 티라노사우루스는 깃털을 가지고 있었으나 대형 공룡으로 진화한 후손에서 사라졌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로 모든 결론이 나왔다고 보기는 어렵다. 보존 상태가 좋은 화석이 아니라면 깃털같이 미세한 구조가 보존되지 않을 수 있는 데다 몸 전체를 분석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더 많은 화석을 발견하고 분석해야 확실한 결론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고든 정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