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는 지난 2008년 멜라민이 들어간 저질 분유가 유통돼 6명의 아기가 사망하고 30만 명의 아기가 피해를 입었다. 이후 홍콩 분유 원정 구매나 호주 분유 구매 대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따이공도 이때부터 호주에서 분유를 싹쓸이하기 시작했다.
호주 ABC뉴스가 공개한 따이공들의 사재기 영상을 보면 이들의 분유 쟁탈전이 얼마나 치열한지 알 수 있다. 1월 초 빅토리아주 박스힐의 대형마트 울워스에서 촬영된 영상에는 따이공들이 진열대 앞을 점령하고 몸싸움을 벌이며 분유를 쓸어 담는 모습이 담겨 있다. 밀치고 넘어지면서도 분유를 확보하기 위해 따이공들이 뒤엉키면서 마트는 아수라장이 됐다. 일부는 대량 구매를 막는 직원에게 폭력을 휘두른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의 호주 마트가 1인당 2개로 분유 구매를 제한하고 있지만, 이들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보도에 따르면 따이공들은 아르바이트를 고용하거나, 몇 시간에 걸쳐 마트를 여러 번 들락거리는 등의 수법으로 구매 제한을 피해가고 있다. 특히 수요가 높은 호주의 프리미엄 분유 a2는 따이공 비상연락망을 통해 입고 정보가 즉시 전달돼, 매대에 진열되기도 전에 싹쓸이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따이공은 그 규모가 상당하다. 이들의 대량 거래에 힘입어 지난해 우리나라 면세점 매출은 전년 대비 30% 증가한 19조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드 보복으로 유커의 방한이 줄었지만 따이공이 그 수요를 간파하고 대행 판매를 늘리면서 매출이 상승했다. 그러나 따이공의 사재기로 국내 소비자의 면세 쇼핑이 제한되고, 면세 물품이 국내로 흘러들면서 소매상인이 타격을 입는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호주 역시 따이공들의 분유 사재기로 정작 호주 엄마들은 분유를 구하지 못해 반중 감정이 극에 달한 상태다. 40만 명의 중국인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따이공 웬보 지하오(28)는 호주 A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구매 대행을 위해 호주 마트를 방문하면 몇몇 사람들은 지나가면서 역겹다고 말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하오는 이런 호주 내 반중 감정을 미디어의 자극적 보도 탓으로 돌렸다. 그녀는 “미디어에 따이공의 부정적 측면만 부각되다 보니 호주 사람들이 우리에 대해 오해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지하오는 “나는 중국 고객들에게 매년 500만 달러 이상의 호주 제품을 판매하면서 오히려 호주 기업의 제품 홍보와 매출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억울한 측면이 있지만, 새해부터 적용된 중국의 새 전자상거래법으로 보따리상들이 호주 세입에도 도움을 주면 따이공에 대한 논란도 가라앉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 1일부터 새 전자상거래법을 도입해 따이공을 포함한 온라인 판매업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다. 인터넷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모든 개인은 허가를 취득해야 하며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따이공들은 그간 모바일 메신저 프로그램 ‘위챗’으로 장사하며 평균 1700만원의 월수입을 올렸다. 우리나라 면세 시장은 새로운 법규 도입으로 매출에 타격이 있지는 않을까 우려하는 반면, 호주는 세금 부과로 따이공들의 분유 사재기가 줄어들 것에 대해 기대하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