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에 따르면 2011년 기준 20만9,775명이던 캐나다 거주 홍콩인 수는 2016년 기준 21만5,750명으로 5,975명 늘어났다. SCMP는 1000명당 약 7.5명에 달하는 캐나다의 연간 사망률을 적용해 2011년~2016년 사이 사망한 캐나다 거주 홍콩인을 7,750명으로 예상했다. 이를 바탕으로 같은 기간 캐나다로 간 홍콩인을 8,755명으로 추정했으며, 여기에는 신규 이민자 4,970명과 재역이민자 및 이민 2~3세가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등 학계는 재역이민 홍콩인이 늘어난 배경에는 정치적 격변과 개인적 요인이 있다고 설명했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에서 이민을 연구하고 있는 다니엘 히베르트 교수는 “1990년대 40대 중반이었던 홍콩인들이 홍콩 반환을 우려해 캐나다로 이주했다. 그러나 이들에게 캐나다 생활은 다소 지루하고 기회도 제한적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 홍콩 사이에 ‘일국양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했다고들 하니 다시 고향 생각이 났을 것이며, 그렇게 캐나다로 왔던 홍콩인들이 다시 고국으로 돌아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때 홍콩으로 돌아갔던 사람들이 이제 60대 중반에서 70대가 되고 보니 노후를 보내기에 캐나다가 안정적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홍콩에서 캐나다 이민했다가 캐나다에서 홍콩으로 역이민하고 다시 홍콩에서 캐나다로 재역이민을 하는 숫자가 늘어난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민 2세에게는 정치적 요소가 더욱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밴쿠버에 거주하고 있는 홍콩인 제니 리우는 1990년대 초반 가족과 함께 캐나다로 이민했다가 8년 후 다시 홍콩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2015년 캐나다로 재역이민을 했다. 그녀는 이제 다시 홍콩으로 돌아갈 계획이 없다고 말한다. 제니가 다시 캐나다로 돌아온 데는 2012년 홍콩 4대 행정수반으로 발탁된 렁춘잉(梁振英·1954~)의 영향이 컸다. 당시 중국은 강경 친중파 렁춘잉을 홍콩 행정장관에 임명해 자율성을 통제하려 했다.
이처럼 중국의 손아귀를 피해 도망치듯 다시 캐나다로 간 홍콩인, 특히 이민 2세들도 최근 홍콩의 대규모 시위에는 동요했다. 제니는 “수시로 시위 상황을 지켜봤다. 잠을 잘 수 없었고 시위자들이 너무 걱정됐다”고 밝혔다. 그녀는 지난 9일(현지시간) 밴쿠버에 있는 중국 총 영사관 밖에서 다른 캐나다 거주 홍콩인 수백명과 연대 시위를 벌였다. 그 자리에는 나탈리 탐(17)과 치니 리우(16) 등 10대 홍콩인들도 있었다. 두 소녀는 각각 지난 1997년과 1989년 캐나다에서 홍콩으로 돌아갔다가 지난해 다시 밴쿠버로 재역이민한 홍콩인의 자녀다. 리우는 부모와 함께 지난해 다시 밴쿠버로 돌아왔으며 탐은 혼자 돌아왔다. 두 소녀는 “몸은 캐나다에 있지만 홍콩은 우리 고향”이라면서 시위 참가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캐나다로 재역이민한 홍콩인들이 다시 홍콩으로 돌아갈지는 미지수라고 전했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을 졸업하고 이민을 연구하고 있는 케네디 치 판 웡은 “이들에게는 자녀 교육 문제도 걸려 있다”고 밝혔다. 2012년 시위 이후 철회되긴 했지만 홍콩에서 중국의 도덕·국민교육 강화가 이뤄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